“남북 정상 핫라인은 통신 실무접촉 통해 추후 협의”

“남북 정상 핫라인은 통신 실무접촉 통해 추후 협의”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18-03-29 22:26
업데이트 2018-03-30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두 정상 집무실에 설치 유력…靑상황실·노동당사도 거론

29일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결정될 것으로 예상한 ‘정상 간 핫라인’ 설치가 나중으로 미뤄져 주목을 받고 있다.

고위급회담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29일 브리핑에서 “직통전화와 관련해서도 양측 간 다시 한번 논의가 있었고, 앞으로 통신 실무 접촉을 통해 협의해 나가자는 정도의 의견 교환이 있었다”고 밝혔다.

‘정상 간 핫라인’ 설치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수석대표로 한 대북 특별사절단이 지난 5∼6일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난 뒤 내놓은 언론 발표문에서 나온 것이다. ‘남북은 군사적 긴장 완화와 긴밀한 협의를 위해 정상 간 핫라인을 설치하기로 했으며, 제3차 남북 정상회담 이전에 첫 통화를 실시키로 했다’고 돼 있다.

핫라인이 설치되면 문재인 대통령과 김 국무위원장이 언제라도 소통할 수 있어 남북 대치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발적 군사충돌을 예방하거나 수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당시 김 위원장은 “이제는 실무적 대화가 막히고 (우리 실무진이) 안하무인 격으로 나오면 대통령하고 나하고 직통전화로 얘기하면 간단히 해결된다”고 말하기도 했다.

과거 핫라인은 2000년 남북 정상회담 당시 김대중 전 대통령이 제안하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수용해 국가정보원과 노동당 통일전선부 사이에 설치됐다. 실제 정상들이 쓴 적은 없다.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핫라인은 단절됐다.

현재 두 정상 간 핫라인의 설치 위치는 문 대통령의 청와대 집무실 책상과 김 위원장의 조선노동당 청사 집무실 책상이 가장 유력하다. 다소 우회하지만, 청와대 국정상황실과 김 위원장의 비서실 격인 노동당사 서기실도 거론된다.

한편 이날 4월 남북 정상회담의 공식 명칭은 ‘2018 남북 정상회담’으로 확정됐다. 지난 6일 언론 발표문에서는 ‘3차 남북 정상회담’으로 돼 있었다. 조 장관은 기자들에게 “정상회담은 차수(次數)를 붙이지 않는다”며 “올해(2018년) 열리는 정상회담으로 네이밍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일부공동취재단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2018-03-30 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