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석] 연일 유화 메시지 북미정상 ‘브로맨스’… 비핵화 새 길 여나

[뉴스 분석] 연일 유화 메시지 북미정상 ‘브로맨스’… 비핵화 새 길 여나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8-09-10 22:44
업데이트 2018-09-10 2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관론 헤쳐가는 두 정상의 도전

김정은 특사단에 “트럼프 믿는다”
트럼프 다음날 “함께 이뤄 나가자” 화답
9·9절 열병식 뒤 트럼프 “생큐, 김정은”
이례적으로 격식 없는 친근한 어투
교착상태 빠진 협상 돌파구 될지 주목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AFP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로를 향해 매우 직설적이고 감성적인 구애(求愛)의 메시지를 연거푸 발신하며 관계의 돈독함을 과시하고 있다. 엄격하고 절제된 수사(修辭·레토릭)를 구사하는 정상외교에서는 전례가 없는 일로, 이 같은 ‘톱다운(정상이 먼저 합의하고 실무진에서 따라오는) 방식’의 협상 기조가 교착상태에 빠진 비핵화 협상에 급진전을 가져올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정권수립 70주년 기념일(9·9절) 열병식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등장시키지 않은 것에 대해 “고마워요(Thank you), 김정은 위원장”이라고 9일(현지시간) 트위터에 글을 올렸다. 친구에게 보내는 메시지처럼 격식 없이 친근한 어투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우리 둘은 모두가 틀렸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다. 서로 좋아하는 두 사람의 대화처럼 좋은 것은 없다”며 거의 ‘브로맨스’ 수준의 어투를 불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적극적으로 호감을 표현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달 23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선 “나는 그(김정은)와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 우리는 궁합(chemistry)이 좋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처럼 파격적인 구애 레토릭을 구사하자 김 위원장도 이례적인 어법으로 화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5일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사단을 만난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나의 신뢰는 변함이 없다”며 “최근 북·미 간 협상에 다소 어려움이 있지만 그럴 때일수록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믿음은 유지될 것”이라고 거침없이 말했다. 특히 “참모는 물론이고 그 누구에게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이야기를 단 한 번도 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정상외교에서는 듣기 힘든 직설적 표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날 트위터에서 “고마워요, 김 위원장. 우리 함께 이뤄 나갑시다”라고 화답했다.

두 정상이 애써 보여 주고 있는 ‘브로맨스’는 정상 간 친분과 신뢰를 앞세워 비핵화 협상에 대한 미국 내 보수 강경파의 부정적·비관적 자세를 정면 돌파하려는 고난도 전술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우리 둘은 모두가 틀렸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다짐성 발언이 바로 그런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일상 대화에서도 톱다운 방식으로 분위기를 만들어 가려는 것”이라고 했다.

현재의 상황상 두 정상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점도 구애 레토릭외교가 펼쳐지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선 오는 11월 미국 중간선거를 앞두고 유권자의 지지를 얻기 위해 가시적인 비핵화 성과가 필요하고, 김 위원장 역시 북한에 우호적인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에 종전선언 등 과실을 얻어야 하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만간 김 위원장이 보낸 친서에 답할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생큐’를 연발하는 것은 북한이 특사단 방북을 계기로 전향적인 비핵화 해법을 미국에 제시했을 가능성이 있고, 이를 트럼프 대통령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겠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서울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8-09-11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