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軍, 사드 이후 중단됐던 ‘한중 해군 함정 교류’ 재개 추진

[단독] 軍, 사드 이후 중단됐던 ‘한중 해군 함정 교류’ 재개 추진

이주원 기자
입력 2019-11-12 17:56
업데이트 2019-11-13 0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과 분위기 개선… 군사협력 복원 논의” 내년 상호방문 위해 3600만원 예산 반영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정문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정문의 모습. 연합뉴스
군 당국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여파로 중단된 한중 해군 함정의 상호 방문을 내년부터 재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12일 “요즘 중국과의 분위기가 개선되면서 다양한 군사협력 복원이 논의되고 있다”며 “이런 차원에서 내년도 한중 함정 상호 방문에 3600만원의 예산을 새로 반영해 중국과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군 함정의 상호 방문은 양국 군사협력을 위해 2011년부터 정례화된 형태로 시작됐다. 국제적 행사인 관함식이나 세계 기항지 중 한 곳에 들르는 순항훈련과는 별도로 신뢰 증진을 위해 중국과 매년 했던 함대 간 교류다.

한국에서는 2·3함대, 중국에서는 북해함대와 동해함대에서 함정을 파견했다. 상호 군항에 입항하면 통신훈련 등 낮은 수준의 연합훈련 및 환영행사와 회담을 개최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하지만 사드 여파로 2016년부터 방문이 중단됨에 따라 예산 반영도 멈췄다. 지난해 10월 제주에서 열린 관함식에 중국 함정이 불참하는 등의 여파도 지속됐다.

군이 함정 상호 방문 재개를 추진하는 배경에는 최근 중국과의 군사적 관계가 긍정적인 기류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지난달에는 박재민 국방부 차관이 참석한 한중 국방전략대화가 5년 만에 재개되는 등 과거 진행된 국방협력이 복원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제17차 한중 국방정책실무회의에서 국방협력을 정상화하기로 해 관련 사항을 추진해 나가는 것”이라며 “협의를 통해 구체적 계획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9-11-13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