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방법보다 어떤 나라 만들지가 먼저다”

“통일 방법보다 어떤 나라 만들지가 먼저다”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6-22 22:34
업데이트 2020-06-23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인택 글로벌피스재단 한국 회장

이미지 확대
서인택 글로벌피스재단 한국 회장
서인택 글로벌피스재단 한국 회장
“지금 한반도 상황이 아주 좋지 않은 것도 사실은 통일이 돼 어떤 나라를 만들 것인가에 대한 커다란 그림 없이 경쟁적으로 북한에 선택권을 줬기 때문입니다.”

서인택(51) 글로벌피스재단 한국 회장은 지난 22일 서울 마포구 합정동 재단 집무실에서 서울신문 평화연구소와 인터뷰를 갖고 최악으로 치닫는 남북 관계에 대해 “북의 인권을 변화시켰다든가, 핵개발을 막았다든가 아무런 성과도 없다. 왜 이런 결과가 초래됐는지 돌아보고 교류와 대화가 하나의 방법이 아니라 목표가 됐던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고 뼈아픈 지적을 했다.

서 회장은 900여 시민단체들이 참여하는 통일을실천하는사람들(통일천사)의 공동상임의장을 맡고 있다. 통일천사는 2012년 8월 시민이 주도하는 생활형 통일운동을 기치로 창설돼 글로벌 통일 공감대 확산 프로젝트인 원케이(One K) 글로벌 캠페인을 주도하고 있다.

인터뷰 내내 막힘이 없는 서 회장은 문현진(51) 재단 세계 회장의 ‘코리안 드림’에 터잡은 통일 논리에 대해 “사실 지금까지 통일 논의는 정부 주도였고 민간의 역할이 없었다. 민족사의 가장 중요한 이슈에 시민이 참여할 공간이 극히 제한적이었다”며 “통일 논의가 과정과 방법론에만 천착해 왔다. 그것이 다시 대립과 갈등을 낳는 악순환이 문제”라고 짚었다. 그는 어떤 통일 국가를 만들 것인가를 둘러싼 엔드 골(최종 목표)을 정부가 아니라 시민사회가 주도해 합의해야 한다며 분단의 위기를 극복하고 강대국 건설의 힘으로 묶어낸 미국의 건국 정신과 우리의 홍익인간이 맞닿는다며 이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서 회장은 “모든 차이를 극복하고 통일을 통해 새로운 나라를 만들 수 있다는 열망을 심어 줘야 통일이 가능하다. 우리는 현재 정부 구성의 방법론, 나중에 논의해도 될 과정을 놓고 다투고 있다. 그렇게 비전과 전망을 뚜렷이 공유하면 과정의 자잘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동력이 된다”고 강조했다.

최근 6·15선언이 나왔던 20년 전이 좋았다고 얘기하는 분위기에 대해서도 할 말이 많다고 했다. 서 회장은 “통일이란 결국 북한 체제의 변화가 전제되는 것인데 우리가 선택권을 갖고 우리가 선택한 방향으로 북한이 끌려오도록 만들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다”며 “북핵은 통일을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게임 플랜’을 다시 짜야 한다. 그리고 통일된 새로운 나라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면 미국과 중국, 러시아도 협조할 의사가 있다는 약속을 받아낼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정권의 이익과 성과만 보고 협상에 임하면 막말이 오가고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폭파·해체되는 일이 반복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나아가 문재인 정부가 이 국면만 벗어나려고 북쪽에 유화책을 제공해 봉합하고 넘어가면 근본적인 해법은 더 멀어진다고 누누이 강조했다. 이어 북한이 빠져나갈 수 있는 옵션을 줄여나가는, 미국 카우보이들의 소몰이(Cattle drive) 방식이어야 하는데 늘 우리는 북한 지도자나 엘리트가 어중간하게 빠져나가게 만들어 줬다고 덧붙였다.

생활형 통일운동 기치를 내건 8년, 해외 지부를 활발히 만들고 있으며 우리 젊은이들의 기업가 정신을 되살려 통일됐을 때 제대로 된 동력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캠페인,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책에 도움이 되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매년 8·15 때 여는 원케이 콘서트로 화제를 낳았는데 올해는 코로나19 때문에 열지 못하고 대신 트로트 가수 나태주가 태권도 동작에 맞춰 부르는 ‘넘버원 코리아’(작곡 김동찬)를 8·15 때 공개하려고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재단은 독일 통일을 이뤘던 원동력 중 하나가 문화의 힘이었다는 인식 아래 2015년부터 통일을 주제로 한 노래를 만들고 대형 콘서트를 열어 왔다.

서 회장은 “모든 체제 전환은 아래로부터 가능했다. 코로나가 진정되면 전국을 돌며 활발하게 통일 교육도 하고 시도에 그친 지부를 시군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터뷰를 한마디로 정리해 달라고 주문했더니 ‘역사의 정원에 신이 나타날 때 신의 옷자락을 잡는 것이 정치’라는 비스마르크의 말을 들었다.

글 사진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2020-06-23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