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병부대 부스터샷… 현지로 백신공수도 검토

파병부대 부스터샷… 현지로 백신공수도 검토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1-11-29 17:50
업데이트 2021-11-30 06: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軍, 오미크론 확산에 선제 대응

코로나19 백신(자료사진) 123rf.com
코로나19 백신(자료사진) 123rf.com
국방부가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의 해외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파병부대에 대한 백신 추가접종(부스터샷)을 계획 중이다. 지난 7월 청해부대 대규모 감염 사태로 홍역을 치렀던 군 당국이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선 모양새다. 부승찬 국방부 대변인은 29일 정례브리핑에서 “(해외 파병부대도) 필요하다면 외국에서 직접 접종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면서 “유엔, 기항지 등 해외 및 국내 접종 등을 전부 고려해서 부스터샷 접종 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밝혔다.

우리 군은 현재 아프리카 남수단과 아덴만, 레바논 등지에 주둔 중이다. 지난 7월에는 아프리카 해역에 정박해 있던 청해부대 34진 함정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해 미온적으로 대응했던 군 당국에 비난이 쏟아지기도 했다. 국방부는 현지 병원을 섭외해 접종하는 방안을 우선 검토하되,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백신을 공수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주둔 지역에 백신 사정이 어려울 경우 국내 물량을 현지로 공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일부 지역은 현지 백신 수급 사정이 열악하고 백신접종 후 부작용이 발생해도 대응이 쉽지 않아 병력 교대 시점에 맞춰 국내에서 추가접종을 진행할 가능성도 있다.

접종 시기는 특정되지 않았지만 내년 1월 중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당초 해외 파병부대에 대해서는 2∼3월쯤으로 계획을 잡았지만, 최대한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청해부대(오만)와 한빛부대(남수단), 동명부대(레바논)에는 주기적인 코로나19 검사가 가능한 장비(X-pert)가 보급됐다. 아랍에미리트(UAE)에 있는 아크부대는 근거리에 검사 시설을 갖춘 현지 병원이 있어 추가 보급은 이뤄지지 않았다.

한편 장병 대상 추가접종은 다음달 27일부터 시행된다. 휴가·면회 등 군 내 거리두기 강화 여부는 정부 방침과 연계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부 대변인은 “방역 당국의 지침 변경이 있으면 그에 맞춰서 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21-11-30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