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 언제 이뤄질까
회담시간도 정했지만 끝내 불발대통령실 “美 다급… 결례는 아냐”
한일 정상회담은 18일 개최할 듯
李, 첫날 남아공·호주 정상과 만남
경제·안보 분야 등 협력 강화 약속

캘거리 뉴시스
G7서 손잡은 한·호주 정상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캐나다를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캘거리의 한 호텔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기 전 악수를 하고 있다.
캘거리 뉴시스
캘거리 뉴시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초청받아 캐나다를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이 가장 공들여 준비했던 한미 정상회담이 16일(현지시간) 예상치 못한 중동 정세 탓에 불발되면서 일정 기간 미뤄지게 됐다. 당장 다음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계기 양국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이 거론된다.
한미 정상회담 불발은 양국 실무선에서는 예상치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이미 17일 회담을 열기로 하고 시간까지 확정한 상태였다고 한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이날 캐나다 캘거리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에서 급한 사정이 있으니 양해해 달라고 했다”며 “미국 측 상황이 다급해 보였다”고 전했다. 그는 “결례인 상황은 아니다”라며 “미국도 결정이 급박하게 그즈음에 연락이 와서 우리도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소식을 들은 이 대통령은 ‘가장 근접한 차기 계기로 (한미회담 준비를) 하겠다’는 관계자의 보고에 “그렇게 하라”고 했다고 전해졌다.
한미 정상회담을 빠르게 재추진할 경우 유력한 시기는 오는 24일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다. 이 대통령은 나토 정상회의 초청을 받았고 참석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재추진은) 외교 채널로 얘기를 하고 있다. 마침 여기 나와 있던 미국 측 고위 인사를 통해 우리 측 고위 인사가 제기를 했고 서울에서 공관을 통해 외교 채널로 지시가 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참석 첫 일정으로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이 경제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을 존경한다고 한 이 대통령은 라마포사 대통령이 만델라 석방 범국민환영위원회 의장을 맡았던 점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우리 둘 다 큰 어려움을이겨 내고 지금의 성취를 이뤘다”며 서로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을 했고 양국 정상은 국방·방산, 청정에너지·핵심 광물을 포함한 공급망 등 제반 분야에서 활발한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고 했다. 이 대통령은 “호주와 한국은 엄청나게 가까운 특별한 관계인데 우리 총리님을 만난 것을 계기로 한국과 호주 관계가 지금보다 훨씬 더 협력적인 관계발전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양 정상이 이날 회담에서 한반도 평화와 북핵 문제 해결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 지속해서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도 전했다.
2025-06-18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