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安 단일화 분수령…막판 조율 ‘숨가쁜 하루’

文-安 단일화 분수령…막판 조율 ‘숨가쁜 하루’

입력 2012-11-23 00:00
업데이트 2012-11-23 17: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는 단일화 최대 분수령을 맞은 23일 후보 대리인 회동까지 하며 막판 조율에 속도를 냈다.

후보 등록(25~26일)까지 최장 3일 남은 상황에서 더이상 합의가 늦어져서는 단일후보로 등록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데다 야권 재야인사, 지지층의 단일화 압박도 최고조에 이른 상황이다.

전날 후보 간 담판 회동이 성과 없이 끝나면서 협상이 파국으로 치닫는 양상이었으나 문 후보 측이 재야인사들의 제안인 ‘적합도+양자대결’ 방식을 수용하고, 안 후보 측이 ‘지지도+양자대결’ 방식을 역제안하면서 접점 가능성이 다시 열렸다.

이에 따라 이날 오전에는 문 후보 측이 안 후보 측의 소위 ‘마지막 제안’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최대 관심사였다.

문 후보는 오전 9시40분 영등포 당사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캠프 인사들과 1시간가량 안 후보 측의 ‘지지도+양자 대결’ 제안 수용 여부를 숙의했다.

우상호 공보단장은 10시40분 회의 결과 브리핑을 통해 “시민사회단체가 제안한 안과 안 후보 측 안을 놓고 진지하게 같이 협의할 필요성이 있다”며 안 후보 측 제안의 즉각적 수용을 사실상 거부한 채 다시 역제안을 했다.

곧바로 협상팀을 가동해 문 후보 측의 ‘적합도+양자대결’ 안과 안 후보 측의 ‘지지도+양자대결’ 안을 놓고 논의해보자는 것이었다.

그러자 안 후보 측 정연순 대변인은 11시30분 브리핑에서 “이제 다시 원점에서 논의를 하자는 말이어서 지금 모여서 논의해 어떤 정도의 성과가 있을지 사실은 걱정이다”면서도 “다만 실무팀이 만나기는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단일화 방식 최종 조율을 위한 실무협상팀 재가동에 양측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이어 오후 1시 정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안 후보가 문 후보에게 후보 대리인 간 회동을 제안, 이를 문 후보가 받아들였다”며 “두 대리인이 낮 12시를 전후해 시내 모처에서 만나고 있다”고 밝혔다.

막판에 대리인격인 ‘단일화 특사’ 채널이 가동되기 시작한 것이다. 양측 대리인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문 후보 측에선 이인영 공동선대위원장이, 안 후보 측에선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이 유력하게 거론됐다.

대리인 회동이 5시간 넘게 이뤄지는 동안 실무팀 가동은 보류됐으며, 양측 실무팀은 대기하며 회동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문, 안 후보는 이날 공식 일정을 잡지 않은 채 캠프 등지에 머무르며 상황을 보고받거나 캠프 인사들과 대책을 논의했다.

문 후보는 오전 회의를 마친 후 11시30분께 당사를 떠나 시내 모처에서 협상팀과 만나 오찬을 함께하며 논의한 뒤 오후 2시 이후에는 의원회관에서 상황을 보고받았다.

안 후보는 이날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용산 자택에 머무르다가 오전 11시45분부터 캠프에 나와 보고를 받으며 대책을 구상했다. 안 후보는 후보 등록 때 필요한 범죄경력증명서를 발급받으려고 종로경찰서에 가는 모습도 포착돼 눈길을 끌었다.

두 후보가 막판 접점 찾기를 모색하는 가운데 작가 황석영 씨 등 문화ㆍ예술ㆍ종교인 97명과 조국 서울대 교수, 진중권 동양대 교수 등은 안 후보를 향해 ‘적합도+양자대결’ 안을 받으라고 촉구했고, 전직 국회의원 74명은 문 후보를 향해 ‘지지도+양자대결’ 안을 수용하라고 요청하는 등 양측 지지자들 간 신경전도 벌어졌다.

트위터 등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상에서는 이날 최종 합의가 안되면 종각에서 단일화 촉구 촛불집회를 하고 양 캠프로 찾아가 농성을 하자고 제안하는 글이 확산되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