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시민 10만 운집… 김영남이 추도사

평양시민 10만 운집… 김영남이 추도사

입력 2011-12-30 00:00
업데이트 2011-12-30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정일 추도대회 안팎

북한은 29일 김일성광장에서 평양시민 10만여명이 운집한 가운데 김정일 국방위원장 추도대회를 열고 새 지도자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에 대한 충성을 맹세했다. 전날 금수산기념궁전에서 열린 영결식이 김 위원장에게 마지막 작별을 고하는 자리였다면, 추도대회는 김정은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대규모 정치행사였다.

오전 10시 55분 추도대회가 시작되자 김정은은 측근들과 함께 주석단에 올라 중앙에 자리를 잡았다. 김정은의 왼쪽으로는 리영호·김영춘·김정각·오극렬·리용무·우동측·김기남·장성택·최태복이, 오른쪽으로는 김영남·최영림·김경희·전병호·김국태·양형섭·강석주·변영립·박도춘·김락희·태종수·김평해·박봉주 등이 섰다. 주석단 자리는 원로급 인사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 사망을 전후로 권력 서열에서 밀려나 ‘지는 해’가 됐던 오극렬 국방위 부위원장은 이번에 김정은으로부터 네 번째 자리를 꿰차 군부 원로의 입지를 과시했다.

북한의 새 지도부는 “김정은 동지를 혁명의 최고 수위에 높이 모시고 그이의 두리에 굳게 뭉쳐 억세게 나아가는 앞길에는 오직 승리와 영광만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도사는 북한의 명목상 국가수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맡았다. 그는 1994년 7월 김일성 주석이 사망했을 때도 추도사를 담당했었다. 추도사를 할 것으로 예상됐던 권력 2인자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은 묵묵히 자리를 지켰다.

3대 권력세습의 정당성에 힘을 실어주는 추도대회인 만큼 실제 권력 서열보다 공식 권력 서열에 초점을 맞춰 추도사를 맡긴 것으로 보인다. 김영남은 김일성·김정일 양대 통치체제에 걸쳐 핵심 권력으로 일한 북한의 최고 원로다.

이 밖에 김기남 당 비서와 김정각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제1부국장, 리용철 청년동맹 1비서가 각 부문을 대표해 새 지도자에 대한 충성과 단결을 강조하는 내용의 연설을 했다. 47세의 ‘신세대 간부’ 리용철은 젊은 김정은 시대를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는 차원에서 연단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

김일성광장 곳곳에는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의 영도따라 주체혁명위업을 끝까지 완수하자’,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의 사상과 영도를 충성으로 받들자’ 등의 표어가 새로 나붙었다.

평양 시민들은 김일성광장뿐만 아니라 당 창건기념탑, 4·25문화회관, 평양체육관 등 주요 건물 앞에도 모여 새 시대의 태동을 생중계로 지켜봤다. 추위에 오랜 시간 서 있었는지 시민들의 얼굴에선 지친 기색이 역력했다. 알록달록한 점퍼를 입고 무리지어 서 있는 어린 학생들도 눈에 띄었다.

김정은은 행사 초반 얼굴을 찡그리고 다소 지친 표정을 짓기도 했지만 중반에 이르자 한결 여유 있는 표정으로 주석단에서 10만 군중을 내려다봤다.

조선중앙TV는 연설자들이 “김정은 동지의 유일적 영도체계”를 강조할 때마다 김정은을 클로즈업했다. 추도대회에서도 김 위원장의 장남 정남과 차남 정철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막내 딸 김여정은 김영남 상임위원장이 추도사를 할 때 그 뒤를 종종걸음으로 지나가다 카메라에 포착됐다.

추도행사는 4분간 조포를 쏘고 묵념을 하는 것으로 오전 11시 54분쯤 마무리됐다. 북한 방송들은 김 주석 때와 마찬가지로 추도행사를 생중계했다.

생중계는 김정은의 존재감을 국제사회에 각인시키고 내부적으로는 추모 열기와 새 지도자의 위용 등을 주민들에게 보여 주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현정기자 hjlee@seoul.co.kr

2011-12-30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