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대화공세 유엔으로 이동…정부 주시

北, 대화공세 유엔으로 이동…정부 주시

입력 2013-06-21 00:00
업데이트 2013-06-21 1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로운 제안 가능성은 높지 않아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가 21일(현지시간) 한반도 상황에 대한 기자회견을 하겠다고 예고함에 따라 북한이 밝힐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 안팎에서는 지난달 중국을 방문한 최룡해 특사의 ‘대화’ 언급 이후 계속되고 있는 일련의 ‘대화 공세’의 하나로 이번 기자회견을 보는 시각이 많다.

특히 북한이 중대 제안이나 새로운 메시지를 내놓을 때는 국방위 담화나 성명 등의 형식을 선호해왔다는 점에서 북한이 새 메시지를 내놓기보다는 자신들의 기존 입장을 알리는 선전전의 장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했다.

북한은 지난해 4월 장거리 로켓 발사 이후 7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도 기자회견을 시도했다. 당시 성명서 배포로 갈음됐지만 북한은 우주개발 주권과 경수로 건설은 포기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만 강조했다.

북한은 이번 회견에서도 ‘북미 고위급 회담’을 제안한 논리를 반복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핵·미사일 개발의 이유를 미국의 적대 정책으로 돌리고 핵보유국간 비핵화를 위한 회담을 할 의사가 있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북한이 최근 밝히고 있는 6자회담에 응하겠다는 입장도 밝힐 것으로 보인다.

또 최근 강조하는 ‘비핵화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유훈’이라는 표현을 자신들의 대화 의지를 천명하는 차원에서 다시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무대가 유엔이라는 점에서 안보리 대북제재가 부당하고 해제돼야 한다는 점도 주장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21일 “어떤 내용을 말할지는 기자회견을 들어봐야 할 것”이라면서도 “최근 대화공세가 계속되고 있는 점으로 볼 때 그런 차원이 아닐까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번 회견에서 기존보다 전향적인 언급이 나올 경우 메시지 공방만 벌이면서 겉도는 비핵화 대화 움직임이 본격화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비핵화 대화의 전제로 ‘2·29 합의’ 수준 이상의 선(先) 조치를 북한에 요구한 한·미·일의 메시지에 대해 평화적인 핵 이용 권리 등을 내세우면서 북한이 강력히 반발할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되면 한·미·일과 북한간의 거리는 더 멀어지게 된다.

정부는 북한의 기자회견에 대해 원칙적으로 대응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말보다는 행동을 보고 대화 의지 등을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