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이석기 사건’에 아직 무반응…그 이유는

北, ‘이석기 사건’에 아직 무반응…그 이유는

입력 2013-09-02 00:00
업데이트 2013-09-02 17: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건 공개 6일째 직접 논평 없어…사태 추이 지켜볼 듯

북한이 갈수록 파문이 확산하는 국가정보원의 ‘내란음모 수사사건’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북한 주요 매체들은 지난달 28일 국정원의 통합진보당 사무실 압수수색으로 이번 사건이 불거진 지 6일째를 맞은 2일까지 이에 대한 직접적인 논평을 내놓지 않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압수수색 다음날인 29일 남한 언론 보도를 인용하며 국정원과 검찰이 진보당에 대한 ‘대대적인 폭압’에 나섰다고 짤막하게 보도했다.

통신은 ‘폭압’과 같은 부정적인 용어로 사실관계를 서술했지만 논평은 하지 않았으며 진보당이 “유신 독재체제의 선포나 다름없다”고 비난한 것을 그대로 전달하기만 했다.

대남 선전용 웹사이트인 ‘우리민족끼리’도 지난달 31일 남한 정부가 ‘통일민주세력에 대한 탄압 책동’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이번 사건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다.

그동안 북한은 공안사건이 발생하면 남한 정부가 진보세력을 탄압하기 위한 ‘모략극’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하며 강하게 비난해왔다.

2011년 북한의 지령을 받아 활동한 간첩단 ‘왕재산’ 사건이 불거졌을 때는 검찰의 사건 공개 7일 만에 ‘우리민족끼리’를 통해 이명박 정부가 ‘공안정국’을 조성하고자 과거 독재정권의 ‘상투적인 수법’을 쓰고 있다고 비난했다.

2006년의 간첩단 ‘일심회’ 사건 때도 북한은 이를 남한 보수세력의 ‘파쇼 탄압 기도’로 규정했다. 국정원과 국가보안법을 없애야 한다는 주장도 빠뜨리지 않았다.

북한은 이번 사건에 대해 일단 논평을 자제하며 수사 진행 과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석기 의원 등이 북한과 연계됐을 것이라는 의혹을 받는 상황에서 북한이 이들을 섣불리 편들고 나서면 의혹을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의원 등이 북한과 연계됐다는 쪽으로 수사방향이 가닥이 잡힐 경우 북한은 ‘조작극’이라며 본격적인 비난 공세를 펼칠 수 있다.

북한이 이번 사건에 대해 대체로 침묵하는 데는 지난달 14일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로 만들어진 남북간 ‘해빙 무드’를 깨뜨리지 않으려는 정치적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남한에서 반북 여론에 힘이 실리는 것을 막기 위한 행보라는 것이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관광 재개 등 남북간 대화로 풀어야 할 중요 현안을 앞둔 상황에서 이에 주력하기 위해 남한의 공안사건에 대해서는 일단 ‘선 긋기’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