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부하 40명, 북한군 150명과 총격전”

“장성택 부하 40명, 북한군 150명과 총격전”

입력 2013-12-20 00:00
업데이트 2013-12-20 16: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성택이 처형된 이유 중 하나로 알려진 ‘최고사령관 명령불복죄’라는 죄목은 장성택의 부하 40명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명령을 받고 온 군인 150명과 총격전을 벌인 것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멍이 든 장성택의 사형집행 전 모습. YTN 영상캡쳐
멍이 든 장성택의 사형집행 전 모습. YTN 영상캡쳐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19일 북한 내부 소식통을 인용, “장성택이 자기 산하 수산부업기지를 넘기라는 김 제1위원장의 지시를 집행하지 않았다”면서 “더욱이 이를 접수하러 온 군인들과 수산기지 사람들이 난투극과 총격전까지 벌인 게 결정적인 원인이 됐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중국에 나온 북한 인사는 “김 제1위원장과 장성택 사이 갈등은 김정은의 무도방어대 시찰 때부터 불거졌다”면서 “무도방어대에 영양실조에 걸린 군인들이 많아 김 제1위원장이 이들을 구제할 대책을 논의하던 중 장성택에게 산하 부업기지를 넘기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수산부업기지는 노동당 행정부 산하 기관으로 자체 부업선과 잠수기재들을 갖추고 황해도 앞바다에서 꽃게와 해삼, 생복 등을 잡아 공해 상에 싣고 나가 중국 상선들과 직접 거래해 외화벌이를 하는 곳이다.

하지만 장성택은 이 지시를 받고도 아래에 알리지 않았고, 김 제1위원장 일행이 돌아간 다음 무도 방어대장이 수산 기지를 찾아가 최고사령관 명령임을 밝히고 방어대에 넘기라고 했지만 부업기지측이 이를 완강히 거부했다고 한다.

수산부업기지의 장성택 추종 세력은 “장 부장동지 명령 없이는 절대 안된다”고 김 제1위원장 특사의 요구까지 묵살했고 결국 화가 난 방어대장은 군인 150여명을 동원해 강제 접수에 나섰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 벌어지자 수산부업기지에서도 40여명의 요원들이 방어에 나서 군인들과 격투가 벌어졌고 총격전까지 발생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북한 내부 소식통은 당시 상황에 대해 “장성택 사람들이 얼마나 잘 훈련됐는지 방어대 군인 150여명을 우습게 제끼고 두 명을 즉사시켰다”고 말했다.

이 사건은 곧바로 최룡해 군총정치국장을 통해 김 제1위원장에게 보고됐고, 이 사실을 알게 된 김 제1위원장은 “장성택이 내 명령을 거역했다”며 대노했다고 북한 내부 소식통은 밝혔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이 사건 후 장성택은 김 제1위원장과 멀어지기 시작했고, 국가안전보위부와 군 보위사령부는 장성택에 대한 은밀한 내사에 들어갔다고 한다.

한편 평안북도의 또 다른 주민은 방송에 “이 소문은 황해도 일대에서 퍼지기 시작해 지금은 평양에 파다하게 퍼졌다”며 “결국 이 사건이 장성택을 치는 결정타가 됐다”고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