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주민 휴대전화 단속조직 ‘1080상무조’ 신설

北, 주민 휴대전화 단속조직 ‘1080상무조’ 신설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15-02-17 22:12
업데이트 2015-02-17 2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입자 240만명… 대대적 감시 나서

북한이 급속도로 늘어나는 주민들의 휴대전화 사용을 통제하기 위해 일시적 조직인 ‘1080상무조’를 만들어 대대적인 감시·통제에 나선 것으로 17일 알려졌다.

대북소식통 등에 따르면 국가안전보위부는 지난해 11월 ‘1080상무조’라는 조직을 신설해 이달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의 주요 활동은 북한에서 합법적으로 사용되는 휴대전화를 감시하는 것이다. 상무조는 당 기관과 간부를 제외한 사법·행정기관 간부, 일반 주민의 휴대전화를 임의로 검열하고 회수할 수 있는 막강한 권한을 가진 것으로 파악됐다. 또 북한 전역에 설치된 이동통신 기지국에 대한 상시 감찰과 도청, 개인의 휴대전화 사용 내역 등 자신이 필요로 하는 자료를 요구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북 소식통은 “1080상무조는 순전히 국내 손전화(휴대전화) 사용자만 감시하기 때문에 다른 검열 조직과는 활동이 겹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1080상무조라는 명칭은 김정은의 생일(1월 8일)에 평온과 안전을 상징하는 숫자 ‘0’을 끼워 넣은 것이며 김정은 정권의 보위가 최우선 임무”라고 덧붙였다.

북한 체신성과 함께 이동통신 합작사업을 하고 있는 이집트의 오라스콤은 지난 6월 북한의 휴대전화 가입자 수가 240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북한은 휴대전화 사용자가 계속 늘어나면서 일일이 통제하기 어려워지자 1080상무조라는 임시 전담조직을 신설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1118상무조’나 ‘109상무조’ 등을 조직해 중국 기지국을 이용하는 불법휴대전화를 단속해 왔지만 여전히 이를 근절하지 못하고 있다. 2012년부터 독일제 도청·추적 장비를 국경에 배치해 중국과 통화하는 밀수업자와 탈북브로커를 단속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과 국경을 맞댄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 북한 주민은 국경 너머에 설치된 중국 이동통신사의 설비를 사용하는 휴대전화를 암암리에 사용하고 있다. 또 다른 대북 소식통은 “북한 주민 사이에서는 당국의 추적 기술이 발전해 중국 휴대전화를 3분만 사용하면 정확한 위치가 탄로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전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5-02-18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