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셀 “北, 몽골의 ‘정치개혁 충고’ 경청해야… 롤모델 될 수도”

러셀 “北, 몽골의 ‘정치개혁 충고’ 경청해야… 롤모델 될 수도”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5-10-04 23:08
업데이트 2015-10-05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북 몽골 대통령 메시지 큰 가치”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2일(현지시간) 70여년간 계속된 공산주의를 버리고 민주주의를 도입한 몽골이 북한의 ‘롤모델’이 될 수도 있다며 북한에 몽골의 충고를 경청할 것을 주문했다.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 중인 러셀 차관보는 이날 워싱턴DC 외신기자들과의 화상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최근 열린 미국과 일본, 몽골 간 3자 회동에서 북한 문제가 협의됐느냐는 질문에 “북한에 의해 제기된 도전 등이 협의됐다”며 “우리는 민주주의에 대한 몽골의 끊임없는 신의를 높게 평가하며, 북한에서 민주주의 증진을 보려면 오래 걸리겠지만 정치개혁 모델로서 몽골이 만들어낸 중요한 기여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얀마 등이 몽골로부터 선거정치제도 등을 배웠다고 덧붙였다.

러셀 차관보는 또 “미국과 일본은 북한과 의사소통하는 채널을 갖고 있어 몽골이 북한 문제의 중재자는 아니지만 민주주의 국가로서, 이웃국가로서, 또 바라건대 북한의 롤모델로서 건설적인 역할이 있다”며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 몽골 대통령이 얼마 전 북한을 방문했는데, 오랜 기간 공산주의 독재를 거쳐 정치적, 경제적 개혁이 엄청난 혜택과 안보 강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아는 엘베그도르지 대통령이 (북한에) 직접 전한 메시지는 큰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북한이 (몽골의 조언을) 경청했기를 희망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에반 메데이로스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은 이날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와 한국국제교류재단 주최로 열린 ‘동북아 평화를 위한 노력’ 세미나에서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동북아평화협력구상에 대해 “이 구상이 6자회담과는 어떻게 다른지, 다른 지역안보체계를 약화시키는 것은 아닌지 등 근본적 문제에 대해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박근혜 대통령의 이달 중순 방미는 우주·사이버·기후변화·보건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좋은 기회”라며 “새 분야의 양국 간 협력이 동북아평화협력구상과 어떻게 맞아떨어지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운 방향”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10-05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