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방송통신 콘퍼런스’ 개최…박찬모 “평양과기대 활용 남북 교류해야””젊은 층 중심 SNS사용 급증, 대포폰 횡행” 주장도
북한이 정보통신기술(ICT) 교육에 공을 들이면서 소프트웨어(SW) 분야 수준이 선진국과 비등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박찬모 평양과기대(PUST) 명예총장은 13일 서울 리츠칼튼 호텔에서 방송통신위원회 주최로 열린 ‘2015 남북 방송통신 국제콘퍼런스’에서 이렇게 분석하며 그 배경으로 초등학교 때부터 시작되는 집중적인 수학·컴퓨터 교육 등을 들었다.
박 명예총장은 콘퍼런스에 앞서 배포한 ‘북한 정보통신 현황과 IT 인재양성’이라는 발제문을 통해 “북한은 어려서부터 남한의 1.5∼2배의 수학교육에 치중하고 있다”면서 “소학교(초등학교) 3학년부터 컴퓨터 교육, 특히 영재학교 인재 양성프로그램이 매우 우수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1990년부터 매년 전국 프로그램 경연 및 전시회가 개최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고난의 행군’ 때도 행사를 한 번도 거르지 않았다고 소개했다.
그에 따르면 컴퓨터 수재반이 설치된 평양 금성제1고등중학교의 연간 컴퓨터 교육시간은 총 1천660시간에 달한다.
아울러 북한의 주요 대학과 과학기술 보급기지에는 원격교육 체계가 구축됐으며 김책공대와 김일성대학에는 전자도서관이 들어섰다.
다만 그는 북한 내 정보기술(IT) 기기 환경과 관련해서는 소학교 학생들도 가지고 다닐 정도로 판형컴퓨터(태블릿PC)가 급속히 퍼지고 있다면서도 하드웨어(HW) 분야는 열악한 경제사정과 제약조건으로 인해 선진국보다 많이 낙후됐다는 의견을 내놨다.
인터넷은 국내용 인트라넷과 북한 밖으로 연결되는 해외 인터넷망이 이중으로 운영되고 있어 보통 사람의 해외 인터넷 사용은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전해졌다.
박 명예총장은 “남북 간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ICT 분야의 교류협력이 시급하다”면서 “북한 유일의 남북 합작대학인 평양과기대를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북한 당국의 감시에도 불구하고 IT 문화에서 대중적인 변화가 일고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아시아프레스의 이시마루 지로 북한취재팀장은 사전 배포한 발제문을 통해 달라진 북한 IT 문화의 일례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통보문(메시지)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을 들며 ‘처음’→’첨’ 등의 단축표현 등장, ‘손전화’→’휴대폰’, ‘통보문’→’메시지’ 등 휴대전화 언어 변화 등을 구체적 사례로 꼽았다.
휴대전화를 1인당 한 대씩만 보유할 수 있는 탓에 ‘대포폰’으로 볼 수 있는 전매 및 명의 대여가 횡행하고 있으며 당국의 검열을 피하려 고정형 PC 대신 노트북을 소유하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