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연일 ‘교과서 국정화’ 비난공세…이달만 50차례 ‘융단폭격’

北 연일 ‘교과서 국정화’ 비난공세…이달만 50차례 ‘융단폭격’

입력 2015-10-28 17:55
업데이트 2015-10-28 17: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 대통령·김무성 대표 직접 거명하며 고강도 비난정보당국 “동향 예의주시”…사실상의 ‘공개지령’ 분석도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로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 이 문제를 고리로 연일 우리 정부에 대한 비난공세를 펼치고 있다.

특히 북한의 관영 및 대남선전용 매체들은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직접 거명하며 원색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정보 당국은 이 같은 언론매체를 활용한 대남 공세가 사실상의 ‘공개 지령’일 수도 있다고 판단하고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가 28일 최근 북한 언론매체의 보도를 분석한 결과, 북한은 이달 초부터 이날까지 무려 50여 차례에 걸쳐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비난하는 기사를 쏟아부었다.

북한의 대외용 웹사이트 ‘조선의 오늘’은 이날 ‘역사교과서 왜곡 책동을 통해 드러난 민족 반역배들의 정체’란 글에서 “보수 패당의 파렴치한 역사 왜곡 책동이 우리 공화국(북한)을 악랄하게 중상 모독하면서 동족 적대감을 적극 고취하는 데로 이어지고 있다”고 목청을 높였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같은 날 ‘남조선 각계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여 투쟁’이란 글에서 “남조선에서 유신 독재를 찬미하는 현 당국의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각계각층의 투쟁이 계속 벌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4일 남조선의 역사학 교수, 연구사들은 서울에서 집회를 가졌다”, “이날 460여개 시민사회, 역사단체들로 구성된 ‘교과서 국정화 저지네트워크’도 2차 범국민집회를 가지고 당국의 부당한 정책을 반대하여 항의의 목소리를 높였다”라며 국정화 반대 투쟁을 우회적으로 선동했다.

통신은 지난 26일과 27일에도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강하게 비난하며 국정화에 반대하는 남한의 언론매체와 국내외 학자들을 소개했다.

북한의 대남선전용 매체인 ‘우리민족끼리’는 26일 ‘역사 교과서 국정화 사태의 두 주역’의 글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국정화를 추진하는 ‘두 주역’으로 지목했다.

그러면서 “두 주역인 현 집권자와 김무성이 모두 친일파의 후손이고 독재자나 독재권력의 하수인이였다는 사실은 결코 우연이 아닐 것”이라며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려는 ‘역사 쿠데타’ 음모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27일에는 “최근 남조선 보수집권 세력이 ‘국정교과서제’를 강행하기 위해 갖은 모략적 궤변을 다 늘어놓으며 날뛰고 있다”고 헐뜯는 글에서 김 대표를 재차 겨냥했다.

또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은 지난 23일 ‘쓰레기통에 쳐박힐 가련한 운명’이란 정세론 해설에서 “박근혜한테서 박정희의 DNA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제2의 유신시대가 개막되었다”라고 썼다.

같은 날 ‘역사에 칼질하는 자들은 징벌을 면치 못한다’란 글에서는 “남조선당국은 시대착오적인 역사교과서 국정화 소동을 당장 걷어치워야 한다”면서 “정의와 진리,력사에 도전하는 자들에게 차례질 것은 시대와 민족의 준엄한 징벌뿐이다”고 위협했다.

앞서 북한 정부도 공식 담화를 내 남한의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비난을 선동했다.

북한 교육위원회는 지난 15일 대변인 담화를 통해 “남조선의 보수패당이 국정교과서제 도입에 기를 쓰고 매달리고 있는 것은 파쇼독재와 친미친일매국으로 얼룩진 추악한 과거사를 덮어버리고 사회 전반을 더욱 반동화, 보수화해 장기집권의 야망을 이루어 보려는데 그 불순한 목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남조선의 모든 교육자들을 비롯한 각계층 인민들은 보수패당의 역사교과서’국정화’ 놀음을 단호히 저지 파탄시키고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교육을 실현하며 민족의 단합과 자주통일을 위한 투쟁에 더욱 힘차게 떨쳐나서야 할 것”이라고 부추겼다.

북한이 이처럼 남한의 정치적 쟁점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은 앞으로 남북협상 등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기 위한 고도의 전략에 따른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은 그동안 남남갈등이 초래되는 계기가 있을 때마다 지침을 내렸다”고 말했으며, 정보 당국자도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회 정보위 관계자는 북한 매체의 ‘교과서 공세’에 대해 “국정원으로부터 보고를 받아 보니 이는 로동신문과 우리민족끼리 등을 활용한 ‘공개 지령’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