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들 北 실상 증언
“삼성그룹 규모 대기업이 문 닫는 것과 충격 비슷”“개성공단에서 일하는 건 ‘로또’에 당첨되는 겁니다. 가족 중 한 명만 개성공단에서 일하면 다른 가족 4~5명은 먹고사는 데 지장이 없어요. 개성공단 가동 중단은 북한에서 유일하게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공장들이 문을 닫는 겁니다. 당장 직원과 가족 등 20여만명의 밥줄이 끊기니 체제에 대한 불신까지도 생길 수 있는 거죠.”
최동수(32·가명)씨는 11일 “지난해 탈북할 때까지 개성공단 덕택에 생계를 이어갈 수 있었던 사람”이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황해도 출신인 최씨는 친척들이 공단에서 일하면서 가져온 과자나 점퍼, 양말 등 의류 등을 시장에 내다 팔아 돈을 벌었다. 그는 “개성공단에서 일하면 임금으로 보름에 현금 15달러(약 1만 8000원) 정도와 쌀(12㎏), 설탕(2㎏), 식용유(5ℓ) 등을 배급받는다”며 “다른 공장의 5배 수준”이라고 말했다.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는 “북한은 한국에서 삼성그룹 정도의 대기업이 문을 닫는 것과 비슷한 충격을 받게 될 것”이라며 “다만 북한이 자체적으로 개성공단을 가동할 경우 개성공단 중단을 통한 경제제재 효과는 기대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2013년 탈북한 최혜선(28·여·가명)씨는 “요즘에는 당 간부보다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사람을 더 능력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주민이 많다”며 “시장이 활성화되고 돈의 가치를 알게 되면서 경제적인 능력을 더 선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개성공단공업지구 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8월을 기준으로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북쪽 근로자는 5만 4702명에 이른다. 통상 개성공단 근로자 1명이 가족 4~5명의 생계를 책임진다.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결정으로 20만명에 이르는 북한 주민의 생계유지 수단이 사라진 것이다. 또 개성공단에서 만들어진 제품이 북한 내부에 보급되지 않아, 이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던 주민들까지 어려움을 겪을 것을 생각하면 충격은 공식적인 수치보다 훨씬 클 수밖에 없다.
탈북자들은 이미 폐쇄경제 체제가 허물어진 북한에서 개성공단은 시장 활성화에 중요한 존재라고 전했다. 김경기(32·가명)씨는 “물건마다 다르지만 개성공단에서 만든 옷이 중국산보다 50% 정도 비싸다”며 “초코파이나 찰떡파이의 경우에는 찾는 사람은 많은데 물건이 없어서 못 팔 정도”라고 전했다.
개성공단은 한국인과의 접촉이 잦기 때문에 근로자들에 대한 사상 검증이 필수적이다. 가족, 친·인척 중에 탈북자가 있거나 중국 등 해외 거주자가 있으면 선발되지 못한다. 2008년 탈북한 이소영(34·여·가명)씨는 “고향인 황해도 해주에서 젊은이들이 거의 한 명도 빠짐없이 지원했지만 선발된 사람은 몇 명 되지 않았다”며 “공단에서 일하기 전부터 자본주의에 흔들리지 않도록 3개월 이상 사상 교육을 시키고 근무 중에도 서로를 감시하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6-02-12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