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ICBM 아니라는 러…의도된 어깃장? 탐지 무능력?

북 ICBM 아니라는 러…의도된 어깃장? 탐지 무능력?

박홍환 기자
입력 2017-07-29 12:40
업데이트 2017-07-29 13: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등 주변 모든 국가가 28일 심야에 발사된 북한의 ‘화성 14형’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판단하고 있는 가운데 유독 러시아만 중거리탄도미사일(IRBM)로 평가해 그 이유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북한,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 1발 동해로 발사
북한,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 1발 동해로 발사 북한이 28일 밤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은 어제 오후 11시 41분경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불상 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4일 발사된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 2017.7.29 [연합뉴스 자료사진]
러시아 국방부는 29일 성명을 통해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이 고도 681㎞까지 날아올라 732㎞를 비행한 뒤 일본해(동해) 중심부에 떨어졌다”면서 “비행자료는 중거리탄도미사일의 전술·기술적 특성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이는 한미일 3국의 평가와 완전히 동떨어진 것이다. 북한의 주장과도 크게 어긋난다. 우리 군 합동참모본부는 북한 미사일 발사 직후 “최고고도가 3700㎞, 비행거리는 1000여㎞로 사거리 기준시 지난번 보다 더 진전된 ICBM급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미 국방부도 즉각 ICBM으로 평가했다.

북한 역시 이날 오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대륙간탄도로켓 화성 14형은 최대정점고도 3724.9㎞까지 상승하며 거리 998㎞를 47분12초간 비행했다”며 ICBM 시험발사라고 주장했다. 러시아 측 판단은 북한 주장과 고도는 무려 2000여㎞, 비행거리는 250여㎞ 차이난다.

탄도미사일 최대사거리는 최고고도의 3~4배이다. 따라서 북한 측 주장대로라면 이번에 발사한 2차 ‘화성 14형’의 최대사거리는 1만㎞ 이상, 러시아 측 판단대로라면 2000~2700㎞로 큰 차이가 난다. 러시아 측도 이런 계산을 근거로 IRBM이라고 주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러시아는 지난 4일 발사된 1차 화성 14형도 중거리미사일로 분류한 바 있다. 중거리미사일이라는 이유를 들어 러시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추가제재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이런 정황을 감안하면 북한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러시아가 의도적으로 화성 14형의 제원을 저평가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첨단 정찰위성은 물론 극동지역의 고성능 탐지레이더로 한반도 주변 상공을 24시간 감시하고 있는 러시아가 이처럼 얼토당토 않은 탐지결과를 내놓을리 없다는 것이다. 정보 당국의 한 관계자는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 북한에 대한 제대 수위를 낮추기 위한 꼼수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발사 장소까지도 전혀 엉뚱한 곳을 지목한 것은 이해할 수 없는 대목이다. 러시아는 자강도 전천군 무평리 일대인 이번 미사일 발사 장소가 동창동(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이라고 주장했다. 1차 발사때도 러시아는 평안북도 구성 일대가 아닌 동창동으로 지목한 바 있다. 일각에서 러시아의 미사일 탐지 능력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박홍환 전문기자 stinger@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