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사 이틀 앞두고 文에 깜짝 메시지…남북관계 회의론 불식

신년사 이틀 앞두고 文에 깜짝 메시지…남북관계 회의론 불식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8-12-30 22:42
업데이트 2018-12-31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金 친서로 비핵화·답방 의지 재확인

A4 2장 분량에 ‘존경하는 文 각하’ 존칭
첫 문장에 “100일 지난 평양 상봉 못 잊어”
南 배려해 신년사에 담길 내용 미리 전달
“비핵화 함께 해결을” 文 중재 역할 기대
북미회담 앞서 1월 중 金답방 가능성도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으로부터 받은 친서.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으로부터 받은 친서. 청와대 제공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세밑 친서’를 보내온 것은 그 자체로 남북관계 발전과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한 의미로 해석된다. 북·미 비핵화 협상의 교착으로 연내 답방 약속을 지키지 못했지만 대신 친서를 연내에 전달함으로써 마음만은 당장 서울을 방문해 문 대통령을 만나고 싶다는 뜻을 전달한 셈이다.

실제 청와대는 이날 친서의 구체적 내용 중 첫 문장만 공개했는데 그 문장에서 김 위원장은 ‘존경하는 문재인 대통령 각하. 평양에서의 우리의 상봉이 어제 일 같은데 벌써 100여일이나 지나 지금은 잊을 수 없는 2018년도 다 저물어가는 때가 되었습니다”라고 적었다. 외교적 수사로 치장된 보통의 정상 간 친서라기보다는 가까운 친구 간 편지와 같은 어감을 풍긴다.

청와대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이란 금색 인장이 찍힌 붉은색 봉투에 A4 용지 2장 분량의 친서가 들었다. 친서 앞머리에 ‘존경하는 문재인 대통령 각하’라고 깍듯하게 존칭을 썼다.

김 위원장이 친서를 보낸 것은 북·미 비핵화 협상의 환경을 조성하려면 내년에도 남북관계를 순조롭고 속도감 있게 진전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이 더 적극적으로 촉진자 역할을 해 주도록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 남북관계 진전에 대한 북한의 의지는 변함없음을 친서를 통해 명확히 보여 주려 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친서를 보내온 시점도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김 위원장이 내년 1월 1일 신년사에서 밝혀도 될 메시지를 굳이 이틀 전 친서로 알려온 것은 남측을 상당 부분 배려한 행동이란 분석이다. 북측 최고지도자가 새해를 앞두고 남측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낸 것은 처음이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불발되면서 동력이 떨어지고 일각에선 남북관계 회의론도 일고 있는데, 신년사의 기조가 될 내용을 미리 전달한 것은 남한 사회 내 회의론을 불식하고 문재인 정부에 힘을 실어 주려는 의도”라고 말했다. 이는 김 위원장이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남측의 중재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내년 1월 중 남북 정상회담이 먼저 개최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아울러 친서에서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갈 용의가 있다’고 밝힌 것은 협상을 조속히 재개할 의지가 있다는 대미 메시지 성격도 있어 보인다. 새해 북한의 대외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신년사에도 친서와 비슷한 기조의 내용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8-12-31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