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뒤로 숨은 김정은… 열흘째 두문불출

김여정 뒤로 숨은 김정은… 열흘째 두문불출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20-06-17 17:29
업데이트 2020-06-17 17: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남 공세 관련 입장·공개 지시 없어
“긴장 완화 대비 김여정에게 비난 맡겨”
이미지 확대
노동당 중앙위 정치국 회의 주재하는 김정은
노동당 중앙위 정치국 회의 주재하는 김정은 (서울=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7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13차 정치국 회의를 열어 자립경제 발전과 인민생활 향상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노동신문이 8일 보도했다. 2020.6.8 [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17일 문재인 대통령을 원색 비난하며 13일간 대남 공세를 주도하고 있는 사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대남·대미 관련 어떤 입장이나 지시도 내놓지 않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7일 노동당 제7기 13차 정치국 회의를 주재했다고 북한 매체들이 다음날 전한 이후 열흘째 공개 행보를 멈췄다. 당시 정치국 회의에서 대북전단 살포 등 대남 문제는 일절 논의되지 않았고, 김 위원장도 관련 발언을 하지 않았다. 대신 김 위원장은 회의에서 비료 생산 등을 위한 화학공업 발전과 평양시민 생활 향상 방안 등 민생 문제만 거론했다.

이후 김 부부장이 지난 13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폐쇄와 군사 도발을 시사한 담화를 내고 16일 연락사무소를 폭파했던 기간에도 김 위원장은 대남 관련 행보는 물론 어떤 지시를 공개적으로 직접 내리는 모습도 보이지 않았다.

최근 북한의 대남 관련 보도 등에서 김 위원장의 지시는 단 한 건만 확인된다. 김 부부장은 지난 13일 담화에서 ‘나는 위원장 동지와 당과 국가로부터 부여받은 나의 권한을 행사’한다고 했는데, 김 위원장이 김 부부장에게 대남 관련 포괄적 권한을 부여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특히 지난 15일 문 대통령의 특사 파견 제안에 대해 카운터파트인 김 위원장이 아닌 김 부부장이 이를 거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7일 밝힌 것은, 김 위원장이 현재의 대남 공세의 전면에 등장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시사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 위원장이 대남 공세에서 한발 물러나 있는 것은 대남 강경 기조에 변화를 줘야 할 시점이 올 때를 대비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주변 정세에 따라 대화 국면으로 전환이 불가피할 때를 대비해 남북, 북미 정상 간 신뢰는 남겨둬야 한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정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을 직접 비난하고 제의를 거부하면 추후 긴장을 완화시킬 때 부담이 있을 수 있다”며 “이에 김 부부장에게 위임해 대남 비난을 하되 최고지도자 간 비방하지는 않도록 판을 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