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목적으로 러시아 방문한 북한인 3700명… 軍 ‘파병’ 영향?

학업 목적으로 러시아 방문한 북한인 3700명… 軍 ‘파병’ 영향?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4-11-09 10:10
수정 2024-11-09 1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1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군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SPRAVDI)가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인들이 줄을 서서 러시아 보급품을 받고 있다고 공개한 영상. 2024.10.20 (우크라군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 X캡처)
1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군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SPRAVDI)가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인들이 줄을 서서 러시아 보급품을 받고 있다고 공개한 영상. 2024.10.20 (우크라군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 X캡처)


올해 3분기(7~9월까지)에만 학업을 목적으로 러시아를 방문한 북한인이 3700여명인 것으로 전해졌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9일 러시아 연방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지난 7~9월(3분기) 러시아를 방문한 북한인 수는 총 5263명이라고 전했다. 이는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 같은 기간 러시아를 방문한 북한인 수 5591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특히 올해 3분기 러시아 방문 북한인 중 ‘학업’을 목적으로 방문한 사람은 3765명이었는데, 이는 2010년 이후 최대 수치다.

학업을 목적으로 러시아를 방문한 북한인은 올해 1분기 38명, 2분기 332명으로 집계돼 3분기에 들어서면서 갑작스럽게 늘어났다.

RFA는 ‘학업’을 목적으로 러시아를 방문하는 북한인이 실제로는 ‘노동’을 위해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러시아 내 북한 노동자들 계약서류에는 통상 ‘노동’이 아닌 ‘연수’로 목적을 기재한다는 설명이다.

최근 러시아로 파견된 북한 노동자가 거의 없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3분기 학업을 목적으로 러시아를 찾은 북한인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과 관련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고 RFA는 전했다.

앞서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지난달 23일 “우리는 북한이 10월 초에서 중반 사이에 최소 3000명의 군인을 러시아 동부로 이동시켰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