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NLL·일자리… 현안 산적한 靑 “민생·경제 올인”

북핵·NLL·일자리… 현안 산적한 靑 “민생·경제 올인”

입력 2013-07-02 00:00
업데이트 2013-07-02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박 4일 일정으로 중국 국빈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박근혜 대통령은 1일 공식 일정을 잡지 않았다. 국내외 현안 해법에 몰두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박 대통령 앞에는 당장 중국과 미묘한 온도 차를 보인 북핵 관련 해법 마련은 물론이고 한·중 정상회담에서 채택한 액션플랜(이행계획)을 현실화시키는 문제가 기다리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국가정보원 대선 개입 의혹과 북방한계선(NLL) 포기 논란 등으로 여야가 극한 대치를 하고 있다. 상반기 동안 가다듬은 ‘창조경제를 통한 일자리 창출’의 가시적 효과를 내야 하는 부담도 있다.

미국에 이어 중국의 지지를 이끌어 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한·중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6자회담 재개 노력’을 어떻게 접목시키느냐도 현안이다. 이는 5월 초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회담 재개보다 북한의 성의 있는 조처가 우선’이라는 입장과 미묘한 차이가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은 전제조건 등에서 ‘뉘앙스 차이’는 있지만 회담 재개에는 동의하는 만큼 이를 위한 외교적 노력에 박 대통령도 큰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 대화의 문을 열어놓으면서 6자회담 재개 노력을 기울이는 투트랙 전략도 예상되는 대목이다.

2일부터 시작되는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 국정조사와 NLL 논쟁에 대해 청와대는 정쟁과 거리를 두고 방중 후속 조치를 챙기면서 하반기에 민생과 경제에 올인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하지만 민주당이 박 대통령을 직접 겨냥하고 있어 청와대의 ‘정쟁 거리 두기’가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미지수다.

오일만 기자 oilman@seoul.co.kr

2013-07-02 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