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취임 한달] 파격 패션·요리 내조…지지율 한몫한 ‘쑤기’

[文대통령 취임 한달] 파격 패션·요리 내조…지지율 한몫한 ‘쑤기’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7-06-08 23:34
업데이트 2017-06-09 0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통 돋보인 김정숙 여사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는 특유의 활달하고 밝은 성품으로 문 대통령의 호감도를 높여 현재 높은 지지율을 올리는 데 톡톡히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 대통령의 지지자들은 각 이름의 끝자를 따 ‘이니’와 ‘쑤기’라는 애칭으로 부르며 문 대통령·김 여사 부부의 일거수일투족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9일로 취임 한 달째인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국민들의 호감도를 높이는 데에는 부인 김정숙 여사의 소탈하고 파격적인 소통 방식이 큰 영향을 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사저에서 청와대 관저로 이사하던 지난달 13일 한 시민이 억울함을 토로하기 위해 찾아왔다고 하자 김 여사가 사연을 듣기 위해 밖으로 나오며 웃고 있다. 연합뉴스
9일로 취임 한 달째인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국민들의 호감도를 높이는 데에는 부인 김정숙 여사의 소탈하고 파격적인 소통 방식이 큰 영향을 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사저에서 청와대 관저로 이사하던 지난달 13일 한 시민이 억울함을 토로하기 위해 찾아왔다고 하자 김 여사가 사연을 듣기 위해 밖으로 나오며 웃고 있다.
연합뉴스
● ‘영부인’ 호칭 거부… 탈권위 행보

김 여사의 지난 한 달간의 행보를 보면 파격과 소통, 소탈함으로 요약된다. 김 여사는 지난달 10일 문 대통령의 취임식 때 무릎 길이의 하얀 원피스 위에 검은 꽃무늬 자수가 들어간 하얀 재킷을 입은 우아한 모습으로 화제가 됐다. 그동안 대통령의 부인들은 취임식 때 한복을 입는 게 관례였지만 김 여사는 이를 깬 것이다. 또 같은 달 15일 문 대통령이 청와대로 이사한 뒤 첫 출근길에는 핫핑크색 원피스 차림으로 등장해 주목받았다. 김 여사가 이전의 영부인들과 다른 자유분방한 영부인상을 보여 줄 것이라는 걸 가장 먼저 패션에서 엿볼 수 있었던 셈이다.

특히 김 여사는 자신의 호칭을 ‘영부인’이 아닌 ‘여사’로 표현해 달라며 권위적 색깔을 빼려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영부인이라는 말은 너무 권위적이면서 독립성이 떨어지는 표현이라 본인이 여사님으로 불러 주길 바랐다”고 설명했다.

김 여사는 훌륭한 요리 솜씨를 살려 문 대통령이 강조하는 협치에 일조하기도 했다. 지난달 19일 문 대통령의 첫 번째 여야 5당 원내대표 회동 때 김 여사는 10시간 동안 공들여 직접 만든 인삼정과를 선물했다. 이 인삼정과는 김 여사가 조각보로 하나하나 포장한 뒤 직접 쓴 손편지와 함께 담아 원내대표들에게 선물해 좋은 인상을 남겼다.

● 민원인·의문사 장병 유가족 위로도

김 여사는 ‘소통’의 메시지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외부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지난달 13일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사저 빌라에서 이사를 준비하던 김 여사는 집 밖에서 한 60대 여성이 민원을 요구하며 소리를 지르자 그의 손을 잡고 집 안으로 데리고 가 먹을 것을 나눠 주기도 했다. 또 같은 달 26일 의문사 장병 유가족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한 연극 ‘이등병의 엄마’를 관람하고 관계자들을 위로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7-06-09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