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새달 방북… DJ·盧와 다른 점

文대통령 새달 방북… DJ·盧와 다른 점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18-08-14 23:04
업데이트 2018-08-15 02: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文 집권 2년차 실천력 탄력
남북 정상 두 번 만난 구면
부부동반 평양행사는 처음

집권 2년차에 접어든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달 평양에서 남북 정상회담을 갖기로 하면서 임기 중후반에 이뤄졌던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회담과의 차이점에 관심이 집중된다.

●남북 정상회담 정례화 길목 열 수도

2000년 6월 13일부터 2박 3일간 평양에서 개최됐던 김 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남북 정상회담은 집권 3년차에 이뤄졌다. 2007년 10월 2일부터 2박 3일간 평양에서 열린 노 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은 집권 5년차 막바지에 이뤄졌다.

특히 노 전 대통령의 방북은 임기 말에 이뤄지면서 10·4 남북 공동선언의 가치는 실천력과 지속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반면 다음달로 예정된 문 대통령의 정상회담은 과거보다 남북 정상 간 합의의 실천력과 만남의 지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측면이 강하다. 4·27, 5·26 판문점 정상회담에 이어 평양에서도 정상회담이 이뤄지게 되면 남북 정상회담 정례화의 길목을 트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14일 “이번 정상회담에서 남북이 합의할 수 있는 수준이나 향후 남북 관계 발전을 위해 취할 수 있는 내용은 과거 정상회담보다 심화되고 확대될 여지가 많다”고 분석했다.

또한 과거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평양에서 첫 만남을 가졌다면 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미 두 차례 정상회담을 통해 신뢰관계를 구축한 상태에서 만나게 된다. 남북 정상 간 세 번째 만남인 평양 정상회담에서 보다 깊숙하고 실무적인 내용이 다뤄질 것으로 예측되는 이유다.

●북미 교착 상황… 대화 돌파구 역할 해야

과거 평양에서 이뤄진 남북 정상회담은 북·미 관계가 대화 모드로 접어든 상황에서 이뤄졌지만 이번 정상회담은 교착 상황에 접어든 북·미 간 대화 국면의 돌파구 역할도 해야 하는 점이 다르다.

홍 연구위원은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도 북·미 관계를 대화 모드로 만들기 위해서 상당히 물밑 노력을 많이 했지만 이번에는 과거와 다르게 북·미 관계 교착 국면을 해결하는 해결사 역할도 해야 한다는 주도적 측면에서 훨씬 더 적극적인 정상회담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이번 정상회담에선 남북 정상 간 첫 평양 부부 동반 행사도 이뤄질 것으로 보여 남북 정상 간 신뢰 구축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울지도 관심사항이다.

지난 두 차례 평양 정상회담 때도 이희호, 권양숙 여사가 함께 방북했지만 당시 김 위원장의 부인은 공식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다. 반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부인 리설주 여사를 4·27 판문점 정상회담에도 대동했던 만큼 평양 정상회담 공식 행사에서도 김정숙 여사와 다시 만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8-08-15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