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내일 바이든과 첫 정상통화…대북 현안 공감대 쌓기 주력할 듯(종합)

文, 내일 바이든과 첫 정상통화…대북 현안 공감대 쌓기 주력할 듯(종합)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0-11-11 18:16
업데이트 2020-11-11 18: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 “시간 조율 중”

바이든 승리 확정 나흘 만
한미동맹 강화 재확인할 듯
文, 한반도 평화구상 바이든 역할 요청 예상
한미정상회담 조기 개최 여부도 관심
문재인 대통령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문재인 대통령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청와대·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2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첫 전화 통화를 할 것이라고 청와대가 11일 밝혔다. 정상 간 첫 소통인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임기가 아직 남은 만큼 현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이뤄지지 않겠지만, 한반도 문제 등에 대한 인식 공유 등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文, 트위터로 바이든에 축하 인사
“미 대선 결과 절대 지지”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과 바이든 당선인이 오늘 통화할 계획은 없고 내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시간을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지난 8일 새벽 바이든 당선인의 대선 승리가 확정된 지 나흘 만에 문 대통령과의 첫 통화가 성사될 전망이다.

이번 통화를 시작으로 문재인 정부와 바이든 당선인 측의 공식적인 소통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과 바이든 당선인은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체제 구축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현안과 경제협력 확대를 통한 한미동맹 강화, 기후변화 대응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보인다.
제25회 농업인의 날 기념식이 11일 청와대 대정원에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제25회 농업인의 날 기념식이 11일 청와대 대정원에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한미동맹 부각될 듯 “같이 갑시다”

특히 이번 통화의 첫 소재는 한미동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과 바이든 당선인 모두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유지·발전시킨다는 데 공감대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년 반 동안 한반도 문제에 호흡을 맞춰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톱다운’ 방식 의사결정은 한미동맹 약화로 비치는 측면이 없지 않았다.

방위비 분담금 협상 과정에서 노출된 한미 간 이견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문 대통령과 바이든 당선인은 ‘한미동맹은 굳건하다’는 메시지를 발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미국의 대선 결과를 언급하며 “나와 정부는 미국의 차기 정부와 한미동맹을 더욱 굳건히 하겠다”고 말했었다.
이미지 확대
[평양공동선언] 평양공동선언 발표 후 악수
[평양공동선언] 평양공동선언 발표 후 악수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평양공동선언을 발표한 후 악수하고 있다. 2018.9.19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바이든 당선인은 10일(현지시간) 자택이 있는 델라웨어주 윌밍턴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AFP연합뉴스
바이든 당선인은 10일(현지시간) 자택이 있는 델라웨어주 윌밍턴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AFP연합뉴스
바이든 “동맹 강화, 한국과 함께 서겠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8일 트위터를 통해 바이든 당선인의 대선 승리를 축하했으며, 그 다음 날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미국 대선 결과를 절대적으로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문 대통령은 “한미동맹 강화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에 어떠한 공백도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며 바이든 당선인 측과 다방면으로 소통,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밝혔었다.

이는 내년 1월 출범할 바이든 행정부와의 긴밀한 소통 의지를 밝힌 만큼 ‘한반도 평화’ 구상에 대한 의견 교환이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 상황을 설명하며 추동력을 확보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거둔 성과를 토대로 평화프로세스 구상을 진전시켜 나가겠다는 게 문 대통령의 생각이다.

예를 들어 대북 현안과 관련해 ‘종전선언’ 등 문 대통령이 지속적으로 밝혀온 대북 유화 정책에 대한 부분에 대한 공감을 얻어 바이든 정부에서도 그대로 추진해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 구축을 위한 바이든 당선인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할 수도 있다.
김대중(오른쪽) 전 대통령이 지난 2001년 미 상원 외교위원장으로 방한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자를 접견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김대중(오른쪽) 전 대통령이 지난 2001년 미 상원 외교위원장으로 방한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자를 접견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바이든, 실무 협상 중시해
북핵 문제 접근에 시간 빠듯할 듯


바이든 당선인 역시 대선 기간 한국 언론에 보낸 기고문에서 “동맹을 강화하면서 한국과 함께 서겠다”고 강조한 만큼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한미동맹 강화 방안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당선인은 이 기고문에 한미동맹을 상징하는 문구를 ‘Katchi Kapshida’(같이 갑시다)라고 적었고, 문 대통령도 바이든 당선인을 축하하는 첫 트윗 글에서 같은 문구를 넣었다.

바이든 당선인은 앞서 캐나다·영국·독일·프랑스 정상과의 통화에서도 다양한 현안의 해결책을 논의하기보다 ‘협력’이라는 공감대를 확인하는 데 주력했다.

다만 외교가에서는 바이든 당선인이 지한파지만 ‘보텀업’, 즉 실무협상을 중시하는 방식으로 북핵 문제에 접근할 확률이 높아 임기를 1년 반 남겨놓은 문 대통령 입장에서는 시간에 쫓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9일 평양 옥류관을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판문점 회담 기념 메달과 북미정상회담 기념주화를 선물하고 있다.  2018.9.19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9일 평양 옥류관을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판문점 회담 기념 메달과 북미정상회담 기념주화를 선물하고 있다. 2018.9.19 연합뉴스
주먹 불끈 쥔 바이든
주먹 불끈 쥔 바이든 제46대 미 대선에서 승리한 민주당 조 바이든 당선인이 7일(현지시간) 자택이 있는 델라웨어주 윌밍턴의 체이스센터 야외무대에서 활짝 웃는 얼굴로 승리 연설을 하며 주먹을 불끈 쥐고 있다. 그는 연설에서 “치유를 위해 하나가 될 때”라며 “분열이 아닌 통합을 추구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윌밍턴 EPA 연합뉴스
한미정상회담 조기 개최 여부 주목
그동안 한미 양국 정상 중 한 명이 취임하는 계기에 이뤄진 첫 번째 통화에서 조기 정상회담 개최 여부가 적극적으로 검토됐던 점을 돌이켜보면 이번에도 대면 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논의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미국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연일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정상회담을 조기에 개최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 때문에 시기를 못 박지 않은 채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되는 대로 정상회담을 개최하자는 원칙 정도는 상호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앞서 바이든 당선인이 지난 9일(현지시간) 대선 후 첫 회견에서 코로나19 통제를 최우선 해결 과제로 제시한 만큼 방역 협력을 두고 의견이 오갈 수도 있어 보인다.

다만 우리 정부가 중국이 주도하는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RCEP) 서명을 앞둔 가운데 바이든 당선인이 미국을 중심으로 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문제 등을 꺼낸다면 문 대통령으로서는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 보좌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 11. 9.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 보좌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 11. 9.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이미지 확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연합뉴스


바이든, 유럽 주요국과 통화 시작
트럼프와 차별화…日도 내일 통화

한편 바이든 당선인은 지난 10일(미국 현지시간) 영국,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등 유럽 주요국 정상 및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와의 통화를 시작으로 정상통화 일정에 나섰다.

바이든 당선인이 정상통화 첫 순서로 유럽을 택한 것은 ‘아메리카 퍼스트’를 앞세워 유럽 동맹국들과 마찰을 빚어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차별화를 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동맹국과의 연쇄 통화를 예고하고 있다.

일본 교도통신은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오는 12일 바이든 당선인과 첫 전화회담을 하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제55회 국무회의가 3일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 11. 3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제55회 국무회의가 3일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 11. 3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조 바이든 당선자가 7일(현지시간) 델라웨어주 윌밍턴의 체이스센터 야외무대에서 승리 연설을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조 바이든 당선자가 7일(현지시간) 델라웨어주 윌밍턴의 체이스센터 야외무대에서 승리 연설을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