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제안에 갈라진 安과 千·金… 벌집 된 국민의당

통합 제안에 갈라진 安과 千·金… 벌집 된 국민의당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6-03-04 17:01
업데이트 2016-03-04 17: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야권 통합설로 국민의당이 내분을 겪는 속에 4일 오전 마포구 국민의당 당사에서 안철수 공동대표가 당사를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야권 통합설로 국민의당이 내분을 겪는 속에 4일 오전 마포구 국민의당 당사에서 안철수 공동대표가 당사를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김종인 더불어민주다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야권 통합’ 제안에 국민의당이 흔들리고 있다.

제3당으로서 자리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는 안철수 공동대표와 여당의 과반 독주를 막아야 한다는 천정배 공동대표, 김한길 공동선대위원장의 입장이 갈리고 있다.

여기에 실제 선거를 치뤄야 하는 의원들도 “통합은 아니라도 선거 연대는 필요하다”는 분위기로 흐르고 있어 안 대표의 ‘불가’ 주장이 고립되는 모양새다.

 4일 국민의당 지도부 조찬 회동에 참석한 안 대표와 천 대표, 김 선대위원장은 더민주의 통합 제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당 관계자는 “조찬 모임에서 의견이 갈려 저녁에 열리는 의원총회-최고위원 연석회의에서 결론을 내기로 했다”고 전했다.

 양당 독식체제 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는 안 대표 입장에선 더민주와의 합당은 절대 불가하다.

한 야권 관계자는 “안 대표가 새정치를 표방하고 나왔는데, 다시 더민주와 합쳐지게 되면 사실상 자기 정치를 접는 것이 된다”면서 “또 합당하게 되면 안 대표의 당내 입지는 더욱 좁아져 대선에 나서는 것은 사실상 어려워진다”고 분석했다.

 이와는 달리 새누리당의 과반의석 확보 저지가 더 중요하다는 천 대표와 김 위원장은 명분과 실리를 모두 챙길 수 있다.

일단 야권 분열 상태에서 총선을 치렀다가 패배하게 되면 당을 깨고 나온 국민의당이 더 부담스러울 수 있다.

때문에 천 대표와 김 위원장 입장에선 합당이 아닌 후보단일화 수준의 선거연대라면 충분히 검토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

 현장에서 선거를 치러야 하는 후보들의 표정도 미묘하다. 창당 이후 추락을 거듭하고 있는 지지율도 문제지만, 수도권에 나서는 의원들의 머리에는 “갈라지면 필패”라는 인식이 강하게 박혀 있다.

수도권에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한 예비후보자는 “새누리당이 기본 40%를 가져간다고 할 때 더민주와 국민의당 후보가 이길 수 있는 곳이 몇곳이나 되겠냐”면서 “제3당으로서 입지를 다지는 것도 결국 의석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라고 털어놨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