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으로 불리려면 70세는 넘어야”

“노인으로 불리려면 70세는 넘어야”

입력 2011-06-15 00:00
업데이트 2011-06-15 09: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장년층 세대는 70세는 넘어야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교보생명에 따르면 시니어사업 컨설팅업체인 시니어파트너즈와 40~69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54.4%가 70~74세는 돼야 노인 세대로 진입한 것이라고 응답했다.

75세는 넘어야 한다는 답변이 14.4%였고 65~69세라는 의견이 26.5%, 60~64세라는 답은 4.7%였다.

심리적 나이와 실제 나이 차이에 대해서는 조사 대상의 36.9%가 자신이 실제 나이보다 6~10세 젊다고 생각했고 26.2%는 1~5세 젊다고 답했다. 11~15세 젊다고 느끼는 응답자도 16.6%에 달했다.

건강관리 방법(중복 응답)은 규칙적인 운동(56.3%)을 가장 많이 꼽았고 식생활 조절(47.5%), 건강식품 구입(45.4%), 정기적인 건강 검진(32.0%) 등의 순이었다.

선호하는 호칭은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6.4%가 ‘시니어(Senior)’를 꼽았고 ‘실버(Silver)’가 22.1%,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 13.4%, ‘고령자’ 5.7%, ‘노인’ 2.3% 순이었다.

노후 준비 상황은 이상과 현실에 차이가 있었다.

풍요로운 노후를 위해 평균 2억9천만원의 노후생활자금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지만 실제로 준비한 노후생활자금은 평균 1억원에 그쳤다. 노후 필요 자금에 대해 2억~4억원이라는 답변이 52.8%였지만 실제로 준비한 노후자금에 대해 2억원 미만이라는 답이 58.5%에 달했다.

사망 이후 장례 준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66.8%가 사후 준비를 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19.8%는 개인적으로 준비한다고 답했다. 15.4%는 상조 서비스에 가입했다고 응답했다.

희망하는 장례 유형은 화장이 75.5%로 월등히 많았고 수목장 12.8%, 매장 11.7%로 조사됐으며 장례 후 희망하는 안치 장소는 납골당 49.0%, 가족 장지 29.0%, 공동묘지나 산, 강 등 기타 응답이 21.8%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