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고생 5명 중 1명 ‘체력 부실’

서울 중·고생 5명 중 1명 ‘체력 부실’

입력 2011-12-26 00:00
업데이트 2011-12-26 05: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학생건강체력평가…작년보다 초등ㆍ중학교는 개선

서울의 중ㆍ고교생 5명 중 1명은 체력이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생보다는 중학생,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에서 정상 체력보다 떨어지는 4~5등급 학생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집계돼 입시에 시달리면서 체력이 저하된다는 기존 조사 결과를 다시 한번 뒷받침했다.

26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2011년 서울지역 중ㆍ고교생 66만6천804명을 대상으로 학생건강체력평가(PAPS)를 실시한 결과, 정상 체력에 못 미치는 4~5등급 학생이 12만3천485명으로 전체의 18.5%를 차지했다.

중ㆍ고교생 가운데 체력이 뛰어난 1~2급의 비율은 34.7%(23만1천79명)였고 보통 체력에 해당하는 3급은 46.8%(31만2천240명)로 집계됐다.

중학생ㆍ고등학생을 구분해서 보면 중학생은 체력 4~5등급 학생 비율이 16.88%(5만4천856명)였지만 고등학생은 20.08%(6만8천629명)로 더 높았다.

서울지역 초등학교 5~6학년생 20만4천124명을 대상으로 한 PAPS에서는 체력 4~5급 비율이 11.63%(2만3천738명), 체력 1~2급 비율이 35.4%(7만2천250명)로 집계돼 중ㆍ고교생보다는 훨씬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올해 PAPS에서도 평균적인 체력 등급이 초등생보다 중학생, 중학생보다 고교생이 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상급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학업부담이 늘고 운동량은 절대적으로 부족해 체력이 저하된다’는 기존 조사결과가 재입증됐다.

한편 지난해에도 PAPS를 실시한 초등ㆍ중학교의 경우 작년과 결과를 비교해보면 올해 체력 4~5등급 학생들의 비율이 작년보다 줄어들고 1~2등급 학생 비율은 늘어나는 등 전반적으로 양호해졌다.

초등학교 5~6학년의 경우 지난해 체력 4~5등급 학생이 16.23%였으나 올해는 11.63%로 4.6%포인트 감소했고, 중학교는 지난해 19.9%였던 체력 4~5등급 학생 비율이 올해 16.88%로 3.02%포인트 줄었다.

최옥수 서울교육청 체육건강과장은 “12월 현재 서울시내 초중고교에서 매주 2~3차례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스포츠클럽의 숫자가 9천여개나 된다”며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활성화 정책이 체력 우려 학생의 숫자를 줄이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울교육청은 내년에는 11개 지역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건강체력 중점학교를 운영하기로 하고 총 3억3천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