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두루마기 갖추고… “편지요” 하회마을에 뜬 ‘구한말 집배원’

갓·두루마기 갖추고… “편지요” 하회마을에 뜬 ‘구한말 집배원’

입력 2012-04-16 00:00
업데이트 2012-04-16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30년 전 근무복 입고 편지 배달하는 김태원 씨

“원더풀….”

이미지 확대
전통이 살아 숨 쉬는 경북 안동 하회마을에 갓 쓰고 흰 두루마기를 입은 집배원이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하회마을을 방문한 외국관광객들은 마을을 지나는 옛 모습의 집배원을 붙잡아 세우고 사진을 함께 찍으며 웃음을 쏟아낸다. 15일 별정우체국중앙회에 따르면 주인공은 경북체신청 화회마을우체국 소속 집배원 김태원(오른쪽·53)씨. 김씨는 매주 수요일이면 양반 갓과 두루마기를 갖추고 고무신을 신은 채 마을 주민들에게 우편물을 배달한다. 우체국 차원에서 전통문화를 계승하자는 뜻에 따라 4명의 집배원 중 하회마을을 담당하는 김씨가 일약 스타덤에 오른 것이다. 색다른 복장의 김씨를 본 외국인들은 “멋있다.” “재미있다.”며 즐거워하고, 주민들은 웃으며 “수고한다.”는 격려와 함께 물 한 컵이라도 건네곤 한단다.

김씨는 “한복을 갖춰 입는 게 조금 불편해도 사람들이 좋아해서 일이 힘든 줄 모르고, 집배원 생활 31년 만에 재미있는 경험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씨는 조금 무거운 택배물을 배달하는 오전에는 정식 근무복을 입고 오토바이를 탄다. 오후에 한복으로 갈아입고, 느릿느릿 도보로 편지를 배달한다. 그는 화회마을에 사는 127가구, 240명의 주민에게 하루 평균 100여통의 우편물을 전한다. 김씨의 한복 차림은 1884년 구한말에 창설된 우정총국의 ‘체전부’(遞傳夫) 근무 복장이다. 다만 당시에는 흰 고무신이 아니라 짚신을 신었을 뿐이다. 이후 집배원의 복장은 검은 교복풍의 근무복 등을 거쳐 오늘날 기능성 편의복으로 바뀌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12-04-16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