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사고 은폐’ 고리 1호기 재가동 승인

‘정전사고 은폐’ 고리 1호기 재가동 승인

입력 2012-07-05 00:00
업데이트 2012-07-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자력委 “안전성 확인” 정부 “주민 설득후 가동”

원자력안전위원회는 4일 제5회 원자력안전회의를 열어 정전 사고 은폐가 드러나 지난 3월부터 가동이 중지됐던 부산 기장군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재가동을 승인했다.

손재영 안전위 사무처장은 “문제가 됐던 고리 1호기의 전력 계통은 물론 원자로 압력용기, 장기 가동 관련 주요 설비, 제도 개선 및 운영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의 재발 방지 대책 등을 세밀하게 검토한 결과 안전성이 확인됐다.”면서 “이에 따라 원자로 재가동을 허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안전위는 최근 환경단체 및 지역 주민들이 주장해 온 ‘원자력 압력용기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계속 운전 심사와 외부 기관의 검증평가 결과를 재검토해 적절하게 평가했다고 결론 내렸다.”면서 “압력용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비파괴검사까지 실시해 벽 두께의 25%가 균열된다고 가정해도 파괴되지 않고, 한계수명인 2017년까지 운영해도 무리가 없음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또 납품 비리와 연계됐던 국산 부품 사용과 관련해서도 기준에 따라 적절하게 교체해 안전성에는 영향이 없다고 판단했다.

재가동 승인이 났음에도 지식경제부와 한수원은 바로 재가동에 들어가지는 않겠다는 방침이다.

지경부 측은 “주민 반발을 감안해 충분한 설득 작업을 거친 후 재가동 날짜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안전위는 3월 12일 한수원으로부터 고리 1호기가 지난 2월 9일 정전 사고가 있었지만 이를 보고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전달받은 후 곧바로 가동을 중지하고 안전점검을 진행해 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07-05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