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보양식 장어 인기 뚝…왜?

여름보양식 장어 인기 뚝…왜?

입력 2012-08-13 00:00
업데이트 2012-08-13 0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치어 개체수 줄어 가격↑ “손님 예년의 60%에 그쳐”

“손님들이 들어왔다가도 가격표 보고는 도로 나가버려요.”

여름철 대표적 보양음식 중 하나인 민물장어 전문식당들이 울상을 짓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급등한 장어 가격 때문에 연중 최고 성수기인 한여름철인데도 손님을 맞기 힘들어서다. 지난해 여름 장어 전문식당에 내걸린 장어 가격은 ㎏당 4만 5000원 선. 그러나 지난해 12월부터 장어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했고 급기야 올 3월에는 7만원대를 넘어섰다. 찾는 이가 줄면서 그나마 내려간 가격이 현재 5만 7000~6만원 선이다.

경기 수원에서 10년 넘게 장어식당을 운영한 이모(53·여)씨는 12일 “연중 가장 장사가 잘돼야 하는 시기지만 손님이 예년의 6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면서 “주변에 장어 장사를 접은 곳이 적지 않은데 계속해서 이렇게 장어값이 고공행진하면 우리도 장사를 그만둬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장어값이 급등한 원인은 치어(稚魚·어린 물고기)의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민물장어는 인공부화가 어려운 데다 바다에서 태어나 강으로 돌아와 성장하는 회유성 어류인 탓에 양식이 까다롭다. 치어 가격의 상승은 곧바로 장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지난해부터 치어가 줄어든 것은 이상기후의 영향이 크다. 유럽 국가들이 민물장어를 국제 희귀어종으로 분류, 국가 간 치어 거래의 규제를 강화한 것도 가격 폭등을 부추기고 있다. 주변 어장도 씨가 말랐다. 유럽산 치어에 의존하던 중국이 최근 자국 내 민물장어 수요를 확보하려고 쓸어담기식 치어잡이에 나선 탓이다. 세계에서 장어를 가장 많이 먹는 일본은 장어값 폭등으로 아프리카에서까지 장어를 수입하고 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2-08-13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