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개교는 전형 30개 넘어
전국 4년제 대학의 2013학년도 대입전형 유형이 3000개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대학이 다양하게 원하는 인재를 뽑기 위해 수시모집의 입학사정관제 종류를 늘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같은 학교 내에서도 내야 하는 서류나 소개서의 종류가 천차만별이고, 전형이 30가지가 넘는 대학이 15개교에 달하는 등 수험생과 학부모, 학교 현장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25일 교육과학기술부가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새누리당 민병주 의원에게 제출한 ‘전국 4년제 대학 대입전형 유형 현황’ 자료에 따르면 4년제 대학 198개교의 2013학년도 대입전형 개수는 총 3186개로 집계됐다. 이는 2011학년도 3790개, 2012학년도의 3344개보다는 약간 줄었지만 여전히 많은 수치다. 각 대학이 매년 입시 요강을 발표하면서 전형 이름을 바꾸거나 통폐합하고 있지만, 새로 만들어지는 전형이 많아 숫자가 크게 줄지 않고 있다.
수시모집 전형이 2105개로 66.1%를 차지했고, 정시모집 전형은 1081개(33.9%)였다. 각 대학의 수시와 정시를 합친 평균 전형은 16개씩이었다. 전형 종류가 30개가 넘는 대학도 15개교나 됐다.
단국대가 52개로 전형 종류가 가장 많았고 중앙대(46개), 건국대·명지대(42개), 상명대(41개), 홍익대(39개) 순으로 전형 유형이 많았다. 캠퍼스를 분리 운영하거나 예체능계 정원이 많은 대학일수록 전형 종류도 많은 경향을 보였다. 전형 수가 가장 적은 학교는 광주과학기술원과 포스텍으로 각각 2개씩이었다. 두 대학은 각각 신입생을 90명과 320명만 선발한다.
학교 현장에서는 전형 수가 과도하다는 불만이 끊이지 않는다. 서울 A고등학교의 한 교사는 “3학년 담임들은 책을 산더미처럼 쌓아 놓고도 학생들을 상담할 때마다 각 학교 홈페이지를 검색해 서류와 조건 등을 따지고 있다.”면서 “사전에 전형 요강을 숙지하는 것이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올해 수시모집에 지원한 한 수험생은 “학교 선생님들을 믿을 수 없어 강남 학원가에서 컨설팅을 받아 서류를 준비하고 지원했다.”면서 “같은 학교 내에서도 종류가 너무 다르다.”고 말했다.
민병주 의원은 “대학의 학생 선발권과 수험생들의 선택권을 넓혀 준다는 측면이 있지만 대입 전형이 너무 많고 복잡해 각 대학 총장들조차 자기 학교 전형 숫자를 다 모를 정도”라며 “대입 전형을 단순화하고 통합해 수험생들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09-2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