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 글자 모양 토스터…‘만남’ 본뜬 정류장 벤치
“우리글 자음과 모음은 서로 단단하게 결속합니다. 이것이 한글을 각종 디자인에 쉽고 아름답게 적용할 수 있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한글의 아름다움을 디자인으로 승화시키는 서일대 한글벤처연구회 회원 정상현(19·산업디자인과 1학년)씨의 말이다.7일 서일대 산업디자인과 실습실에서 백승정(오른쪽) 지도교수와 한글벤처연구회 소속 학생들이 한글디자인을 연구하고 있다.
566돌 한글날을 이틀 앞둔 7일 산업디자인과 실습실에서 만난 한글벤처연구회원들은 한결같이 “한글은 디자인 창작의 보고”라고 예찬했다.
같은 과의 박세아(19)씨는 “한글은 초성과 중성, 종성으로 이뤄져 있어 자음과 모음 사이의 간격와 비례를 통해 디자인적으로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면서 “A, B, C 같은 알파벳은 이런 활용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서일대 한글벤처연구회 학생들이 ‘만남’ 단어를 의미와 연결지어 디자인한 버스정류장.
한글을 유아·아동을 위한 캐릭터 디자인으로 개발하는 데 관심이 많다는 원혜란(19)씨는 호랑이·소·양·개 등 동물의 글자와 동물의 특징을 연결한 캐릭터 티셔츠를 디자인하고 있다.
이들을 지도하는 백승정 산업디자인과 교수는 “한글은 1만 1172자의 생성이 가능하고, 한글이 지닌 수평선·수직선·사선에 네모·세모·동그라미 등을 크기와 방향성·기울기 등과 연결시켜 변형하면 무한대의 디자인이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체 개발 수준을 뛰어넘어 한글의 조형적 가치를 재발견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이들은 특히 각종 제품 디자인에서 한글의 장점을 강조했다. 예컨대 ‘빵’이란 글자를 활용해 토스터를 디자인하고, ‘만남’이란 단어를 이용해 버스정류장 벤치를 디자인하는 등 우리 생활 속의 다양한 제품과 공공영역에 활용 가능하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정씨는 “한글은 조형적으로 어떤 형태로 바꾸어도 어색함이 없다.”면서 “특히 ‘받침’이 있기 때문에 실제 건축 등의 디자인에 활용할 때 안정감을 준다.”고 평가했다. 정씨는 서울, 부산 등 각 지명을 버스정류장 디자인에 활용해 한글문화상품 공모전에서 버금상을 받기도 했다.
글 사진 안석기자 ccto@seoul.co.kr
2012-10-08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