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전방 ‘성탄트리’ 점등 논란 올해도 재연되나

최전방 ‘성탄트리’ 점등 논란 올해도 재연되나

입력 2012-11-21 00:00
업데이트 2012-11-21 1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선 앞두고 정치적 논란으로 번질 가능성도

지난해 성탄절을 앞두고 빚어진 ‘최전방 성탄트리 점등 논란’이 올해에도 되풀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기독교 단체는 올해에도 최전방 성탄트리 설치를 정부에 건의한 상태여서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논란으로 번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대북전단 살포·애기봉 등탑반대 김포대책위원회 회원 50여명은 21일 오후 1시30분께 김포시 월곶면사무소 앞에서 ‘전단 살포·애기봉 등탑 점등 반대’ 집회를 열었다.

대책위는 집회에서 “올해 다시 애기봉 등탑에 불을 밝힌다면 12월 대선을 앞두고 북풍 공방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북한과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국방부는 기독교 단체의 등탑 점등을 허가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국방부는 성탄절을 앞두고 기독교 단체의 요청을 받아들여 애기봉과 통일전망대 등 최전방 3곳에 성탄트리 등탑을 설치하기로 했다가 곧 철회했다.

같은해 12월1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하면서 ‘북한을 자극하지 않고 차분하게 대응한다’는 우리 정부의 방침에 따른 것이다.

국방부의 철회 결정이 있기까지 북한은 등탑 점등 계획에 대해 “괴뢰들의 반공화국 심리전이 본격적인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며 거친 반응을 보였다. 애기봉과 통일전망대 등은 군사분계선(MDL)에서 불과 2.5∼3㎞떨어져 있어 북한 주민들이 등탑의 불빛을 육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급기야 김포시가 나서 애기봉 등탑 설치를 취소해 줄 것을 국방부와 여의도순복음교회 측에 요청하기도 했다.

안재범 김포대책위 집행위원장은 “7년만에 애기봉에서 등탑 점등을 했던 2010년에도 소방차가 동원되고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소동이 빚어졌다”며 “애기봉은 원래 안보와 평화의 상징인데 오히려 지금은 위험지역이 돼버렸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기독교 군선교연합회 등 기독교단체는 올해 다시 성탄트리 등탑 설치와 점등을 국방부에 요구한 상태다. 정부가 이를 허락할 경우 정치적 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기독교 군선교연합회의 한 관계자는 “지난 10월초 국방부에 작년과 같이 애기봉 등 전방지역 3곳에 등탑을 설치하고 점등식을 열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며 “국방부의 판단에 따라 점등 행사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포대책위와 한국진보연대는 20일 국방부를 찾아 최전방 성탄트리 점등 허가와 관련한 입장을 묻는 공개질의서를 전달했다. 국방부는 오는 31일까지 관련 내용에 대한 답변을 주기로 했다.

애기봉 등탑 점화는 지난 2004년 6월 군사분계선 지역에서의 선전활동을 중지하고 선전수단을 모두 제거키로 한 2차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합의에 따라 잠정 중단됐다가 지난 2010년 1차례 재개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