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만원씩 84개월 갚으려면, 꿈 좇는 건 사치

18만원씩 84개월 갚으려면, 꿈 좇는 건 사치

입력 2013-03-26 00:00
수정 2013-03-26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졸업도 하기 전에 비정규직 택한 민지희씨 사연

반값등록금 실현과 교육공공성 강화를 위한 국민본부, 21C 한국대학생연합 등 단체들이 25일 서울 종로구 청운동 주민센터 앞에서 보편적 반값등록금 실현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반값등록금 실현과 교육공공성 강화를 위한 국민본부, 21C 한국대학생연합 등 단체들이 25일 서울 종로구 청운동 주민센터 앞에서 보편적 반값등록금 실현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08년 경기도의 한 4년제 대학에 입학한 민지희(23·여·가명)씨는 대학 3학년에 올라가던 2010년부터 학자금 대출을 받았다. 형편이 뻔한 부모님께 손을 벌리느니 나라에서 빌려 취업한 뒤 갚으면 속이 편할 것 같았다. 민씨는 취업 이후 일정 소득이 생기면 원금과 이자를 나눠서 갚는 ‘든든학자금’ 제도를 통해 5학기 동안 1500만원이 넘는 대출금을 빌렸다. 졸업을 석 달 앞둔 지난해 12월 한 대기업 보험회사 콜센터의 비정규직으로 취업한 민씨는 올해 초부터 한 달에 18만원씩 원금을 갚아 나가고 있다.

학자금 대출 경험이 있는 대졸자가 나쁜 일자리를 얻었다는 조사 결과는 대학 시절 높은 학비 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지게 된 학자금 대출의 부담이 졸업한 이후에도 여전히 굴레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수천만원의 등록금과 생활비를 대출받고 졸업 후 이를 갚아 나가야 한다는 사실이 직업 선택에서 중요 기준 가운데 하나로 작용하는 것이다.

연봉이 2800만원가량 되는 민씨도 하루빨리 대출금을 갚기 위해 졸업 전 취업을 택한 경우다. 민씨는 “졸업 전 마지막 겨울방학에 지원했던 일자리 가운데 대부분 떨어지고 처음에 아르바이트로 시작한 콜센터에 자리 잡게 됐다”면서 “학자금 대출을 모두 갚기 전에는 다른 정규직 일자리를 알아보거나 이직을 시도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든든학자금은 대학 졸업 후 연간 소득금액이 지난해 기준 1728만원 이상 되면 원금과 이자 상환을 시작해야 하며 한 해 기준금액을 초과하는 소득의 20%를 갚아야 한다.

2010년 도입된 든든학자금 제도는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쉬지 않고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대출을 받은 학생들이 상환 부담 때문에 공부에 전념할 수 없고 졸업 후 상대적으로 열악한 노동시장에 진출하는 경우까지는 해결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학자금 대출 규모가 늘어나고 상환을 미루는 대졸자들이 늘어나는 것 역시 대학 시절 학자금 대출이 졸업 후의 경제생활에까지 악영향을 미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한국장학재단의 지난해 상반기 일반상환 학자금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1년 하반기에 7.07%였던 연체율이 2012년 상반기에는 7.17%로 오르는 등 대학 졸업 후 대출금 미상환에 따른 위험이 차츰 커지고 있다. 연체 액수도 같은 기간 2901억원에서 3074억원으로 173억원 증가했다. 특히 6개월 이상 빚을 갚지 못해 신용유의자로 등록될 위기에 처한 학자금 대출 건수는 2011년 상반기 7500건에서 2011년 하반기 1만 2475건, 지난해 상반기 2만 4551건 등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송창용 연구위원은 “학자금 대출 제도의 정교한 설계도 중요하지만 이보다는 국가장학금 등 장학금 제도의 확충이 더 시급한 해결책”이라고 지적했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03-2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