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현역 교사들 함께 ‘공동역사교재’ 펴내
29일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사무실에서 열린 한·일 공통역사교재 발간 기념 한·일 공동기자회견에서 교재 발간 의의를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천재곤 전교조 대구지부장, 집필진인 윤민근 대구 매천고 교사, 집필팀장인 장대수 시지고 교사, 후지이 무츠히로 히로시마현 교직원조합 집행부위원장.
한국 기자회견에 참가한 일본측 대표 후지이 무츠히로 히로시마현 교직원조합 집행부위원장은 “일본 아이들에게 ‘외국’이라 말하면 다들 미국을 생각한다”면서 “현실적으로든, 역사적으로든 가깝고도 먼 나라인 한국을 잘 알고 이해하는 것이 일본을 바로 이해하는 길이기도 하다는 점을 이 교과서를 통해 배웠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국 집필진인 윤민근 대구 매천고 교사는 “2001년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파동 이후 안 좋은 교과서를 채택하지 말자는 운동만 벌일 게 아니라 좋은 교과서를 직접 만들어보자는 논의가 있었다”면서 “그 이후 협력 한 끝에 탄생한 것이 이번 책”이라고 말했다.
한일 역사 갈등 해결 모델로 독일과 주변국 간 공동역사교과서 제작 사례가 거론됐고, 이에 따라 작업한 몇가지 책들이 나와있다. 그런데 이번 작업은 대구와 히로시마라는 한국과 일본의 지방에서, 그것도 역사학자 같은 전문연구자들이 아니라 현장에서 아이들을 직접 가르치는 역사교사들이 만들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책의 목적은 역사 해석에서 어떤 공통 인식을 끌어내는 것이 아니라, 어린 학생들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한 사실을 쓰는데 초점을 맞췄다. 가령 ‘친일파’라는 용어는 단순히 일본과 친하다는 오해를 살 수 있어 ‘친일반민족행위자’라는 표현을 썼다. 한일 병합에 대해서도 한국의 무효론과 일본의 유효론을 함께 서술해둬 학생들이 직접 비교해볼 수 있도록 했다. 반면, 최근 가장 첨예한 이슈인 독도 영유권 문제는 지나치게 정치적 문제라는 판단에 따라 다루지 않았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3-3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