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베 사이트, 또 노무현 비하 광고로 물의

일베 사이트, 또 노무현 비하 광고로 물의

입력 2013-07-05 00:00
업데이트 2013-07-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베 노무현 전 대통령 비하 광고. / 일베 사이트 화면캡처
일베 노무현 전 대통령 비하 광고. / 일베 사이트 화면캡처


노무현 전 대통령을 희화화하는 글들이 난무하는 등 온갖 물의를 빚어 지난 5월 광고가 끊겼던 극우사이트 일간베스트저장소(일베)의 광고영업이 최근 재개됐지만 다시 노 전 대통령을 희화화한 광고가 올라와 논란에 휩싸였다.

관련 내용이 알려지자 해당 광고는 사라진 상태다.

4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 따르면 이번주 초 일베 사이트에 ‘가격 민주화’라는 문구가 들어간 노트북 광고 배너가 올라왔다.

배너 광고에 쓰인 이미지는 유채꽃밭을 배경으로 노 전 대통령이 웃으면서 두 팔을 벌린 채 나비를 쫓는 사진이다.

일베 노무현 전 대통령 비하 광고. / 일베 사이트 화면캡처
일베 노무현 전 대통령 비하 광고. / 일베 사이트 화면캡처


해당 광고를 클릭하면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 옥션의 노트북 판매 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이 광고에서 ‘가격민주화’라는 표현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일베에서 ‘산업화’는 좋은 방향의 변화, ‘민주화’는 부정적인 방향의 변화를 뜻할 때 쓰인다.

무엇보다 광고에 사용된 노 전 대통령의 사진은 ‘천국으로 간 노짱’이라는 제목으로 노 전 대통령을 조롱할 때 자주 쓰이던 이미지다.

일베에 이 광고를 올린 옥션의 노트북 판매자는 한 회원이 상품 문의를 통해 항의하자 “서민 이미지를 살리기 위해 노 고무현 전 대통령 사진을 넣었다”면서 “가격민주화는 서민경제를 살리고 현 정부의 경제민주화에 동참한다는 의미”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 해명은 오히려 역풍을 불러왔다. ‘노 고무현 전 대통령’이라는 표현은 일베 이용자들이 일부러 글자 순서를 바꿔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을 비꼬는 방식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판매자가 일베 이용자”라고 보고 있다.

네티즌들은 이 광고에 대해 “광고도 일베식 광고”, “명백한 의도를 가진 조롱” 등의 비판을 가했다.

옥션 측은 해당 노트북 판매자에 대해 ‘부적합 문구 사용’을 이유로 판매중단 조치를 내려 현재 광고에 나온 노트북은 구매가 불가능하다.

그밖에도 걸그룹 에이핑크, 대구의 한 요양병원 등의 광고가 일베에 올라왔다.

지난 5월 노 전 대통령을 치킨브랜드 로고와 합성한 ‘노래오래’ 사진이 경북의 한 홈플러스 지점 스마트TV에 게시돼 물의를 일으킨 뒤 미디어나루, 리얼클릭 등 광고대행사를 통한 광고노출이 차단됐었다. 광고가 중단됐던 시기 일베 운영진들은 두달 동안 수천만원의 서버 유지 비용을 개인적으로 충당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일베 운영진은 지난 2일 공지사항을 통해 “당분간 외부 압력으로 기존방식 광고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한다”면서 “턱없이 적은 매출이겠지만 자체광고 시스템과 게임, 소설, 쇼핑 등을 순차적으로 오픈해 장기적으로 자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고단가는 1일 6만원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일베가 새롭게 시작한 광고를 모두 유치할 경우 월 최대 5000만원 이상의 수익을 낼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