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의 힘…국공립 시설 첫 위탁운영

협동조합의 힘…국공립 시설 첫 위탁운영

입력 2013-09-24 00:00
업데이트 2013-09-24 08: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우누리, 11월부터 중랑시립요양원 맡아 ‘복지실험’

올해 들어 본격적으로 설립되기 시작한 협동조합 중 처음으로 국공립 시설을 위탁운영하는 곳이 나왔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사회적협동조합 도우누리는 11월부터 시립중랑노인전문요양원을 위탁 운영하기로 하고 관련 절차를 밟고 있다.

중랑구 망우본동에 있는 시립중랑요양원은 치매, 중풍 등 노인성 질환을 앓는 환자 164명이 입소해 있다.

이곳에서는 올 1월 민주노총 산하 돌봄지부 소속으로 노조 분회가 결성됐고, 운영법인과 노조는 4월 단체교섭에 합의했다.

그러나 법인이 노조 설립과 경영 문제 등을 이유로 6월 수탁 포기 의사를 밝혔고 서울시는 3차례에 걸쳐 요양원을 맡을 법인을 공모했으나 적당한 주체를 찾지 못했다.

법인 관계자는 “대부분 기초생활수급자인 어르신들이 입소하는 곳이라 운영에 신경을 써왔는데 단협 후 예산이 더 들게 돼 부득이하게 운영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세차례 운영 법인을 공모했지만 노조 문화에 익숙지 않은 탓인지 다른 법인들이 지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결국 시는 이달 초 사회적협동조합 도우누리와 위탁 운영 계약을 체결했다.

도우누리는 올 4월 보건복지부 인가 1호 사회적협동조합으로 등록했으며, 150명가량의 요양사가 활동하고 있다.

주로 재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해온 늘푸른돌봄센터가 설립기반이다.

사회적협동조합은 수익을 조합원들이 나눠 가질 수 없는 비영리 조합이다. 시설 운영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전부 시설에 재투자된다.

협동조합 설립이 본격화된 후 보육, 의료 분야에서는 사회적협동조합이 국공립 시설을 위탁 운영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나 전례가 없어 실제 위탁 운영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다.

요양 서비스 분야에서 처음 도우누리가 공립 시설을 맡게 되면 다른 공공 분야로 사회적협동조합이 진출할 계기가 마련되는 셈이다.

민동세 도우누리 협회장은 “우리가 협동조합이니 운영방식이나 철학 등에서 노조와 함께 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기존 요양사들에게도 이점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사회는 시설 입소 어르신이 다시 집으로 돌아가기 매우 어려운 구조”라며 “집과 시설을 오가는 선순환 구조 속에서 어르신들이 적절한 보살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게 협동조합의 목표다”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