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닭 함부로 못죽인다” 박완주 의원 관련법 발의

“AI 닭 함부로 못죽인다” 박완주 의원 관련법 발의

입력 2014-02-19 00:00
업데이트 2014-02-19 15: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나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 예방을 위해 가축을 살(殺) 처분할 때는 반드시 인도적 조치를 마련하고, 살 처분 동원 인력의 건강상태를 관할 지방자치단체 등이 직접 챙기도록 하는 법 제정이 추진된다.

민주당 박완주 의원(충남 천안을)은 가축전염병의 조기 종식과 살처분에 동원된 공무원 및 축산농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트라우마) 대책을 담은 ‘가축전염병 예방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19일 밝혔다.

AI와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은 지속적인 정보 수집, 분석, 연구를 통한 백신 및 치료약품의 개발이 필요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이에 대한 명확한 법률적 근거가 없어 제도적 보완이 요구돼 왔다.

특히 국내에선 가축전염병이 발생한 농장은 물론 인근 지역 농가에서 키우는 가축까지 확산 방지 차원에서 살 처분하고 있다.

하지만 살처분에 필요한 장비가 부족해 일부 지역의 경우 닭과 오리 등을 산 채로 매몰해 비인도적이란 지적을 받고 있다.

게다가 살처분에 참여한 공무원과 축산농민들이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고, 살아 있는 동물을 생매장하면서 2차 오염 피해 등도 우려되고 있다.

박 의원이 제안한 ‘가축전염병예방법’ 개정안에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가축전염병에 관한 정보 수집과 분석, 조사·연구를 하고, 가축전염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품을 개발, 비축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 살 처분에 대해선 인도적 방법을 농림축산식품부가 미리 고시하고, 살 처분에 참여한 공무원과 축산농민들이 트라우마에 시달리지 않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 밖에 살 처분 과정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토양 및 지하수의 2차 오염을 막기 위해 피해농가와 주변지역의 오염상태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가축전염병 발생에 따른 축산물 수요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소비 장려대책을 마련하도록 하는 방안도 담겨 있다.

박 의원은 “생명을 죽이는 데 인도적 방법이 있을 수 없지만 법안은 최소한 야만의 방법을 피하자는 사회적 담론을 담고 있다”며 “관련 법안이 서둘러 통과될 수 있도록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