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외국국적 동포 지난해 첫 20만 명 돌파

국내 외국국적 동포 지난해 첫 20만 명 돌파

입력 2014-02-24 00:00
업데이트 2014-02-24 1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족, 15만 7천여 명으로 전체의 67.5%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국적 동포가 지난해 처음으로 20만 명을 넘어섰다.

24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국내 거주 외국국적 동포는 23만 3천269명을 기록해 전년보다 4만 5천653명(24.3%) 증가했다.

외국국적 동포의 수가 20만 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가 처음으로, 국내에 체류하는 전체 외국인 157만 6천34명 가운데 외국국적 동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14.8%에 달한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국적 동포는 2009년 5만 251명에 불과했으나 2010년 8만 3천825명, 2011년 13만 5천20명, 2012년 18만 7천616명 등으로 크게 증가했다.

외국국적 동포가 급증한 것은 일자리 등을 찾아 온 한국계 중국인(조선족)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2009년만 해도 미국 국적의 외국국적 동포가 3만 1천734명으로 가장 많고 중국 국적의 동포는 4천804명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0년에는 미국 국적 동포(3만 5천501명)와 중국 국적 동포(3만 1천502명)의 규모가 비슷해졌고, 2011년에는 중국 국적 동포(7만 2천870명)가 미국 국적 동포(4만 421명)보다 많아졌다.

한국 국적을 취득한 이들을 포함한 국내 거주 조선족은 2012년 11만 5천731명을 기록하며 10만 명을 넘어선 데 이어 지난해 15만 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외국국적 동포의 국적을 살펴보면 조선족이 15만 7천443명으로 전체의 67.5%를 차지했고, 이어 미국 4만 4천701명(19.2%), 캐나다 1만 3천470명(5.8%), 호주 3천910명(1.7%), 뉴질랜드 1천953명(0.8%) 등 순이다.

외국국적 동포는 서울(9만 6천444명), 경기도(8만 1천71명), 인천(1만 749명) 등 수도권에 전체의 80.7%인 18만 8천264명이 거주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