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검증 안 된 송전탑…우리에겐 삶이 걸린 문제”
8일 오후 경남 밀양시 단장면 동화전(桐花田) 마을 뒷산. ‘오동나무 꽃밭’에서 유래된 마을 뒷산에는 송전탑이 병풍처럼 들어서 있었다. 95번, 96번, 97번 송전탑은 마을 어디서든 고개를 들면 시야에 들어왔다. 마을 작업장에서 만난 박은숙(41·여)씨는 고개를 푹 숙인 채 양배추를 봉투에 담고 있었다. 박씨는 마산에서 직장에 다니다 만난 남편과 결혼한 후 2002년 고향인 밀양으로 돌아와 아이 넷을 키우며 남편과 친환경 방식으로 농사를 짓고 있다.2012년부터 송전탑 설치 반대 농성에 참가한 박은숙씨가 경남 밀양시 단장면 동화전 마을 뒷산에 늘어선 송전탑을 가리키고 있다.
농성에 참여하면서 박씨 일상도 뒷산 나무들처럼 송두리째 뽑혔다. 푸근하게 느껴지던 마을공동체는 흉흉해졌다. 박씨는 “평생 죄 안 짓고 세금 꼬박꼬박 내고 애들도 넷이나 낳은 나에게 국가는 폭행죄와 공무집행방해죄로 족쇄를 채웠고 새벽 5시에 집에 들이닥쳐 남편을 연행해 가기도 했다”며 씁쓸하게 웃었다.
송전탑 반대 농성이 이어지면서 ‘지역 이기주의’라거나 ‘보상금을 더 타내려고 그런다’는 등 비난도 있었다. 그는 “(송전탑 인근에서 사는 것이) 인체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해 검증도 되지 않았는데 정부와 한국전력 측은 ‘선결정 후통보’ 식으로 밀어붙였다. 우리에겐 삶이 걸린 문제”라고 밝혔다.
공사에 반대하는 주민 2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등 곡절을 겪은 끝에 밀양 765㎸ 송전탑 공사는 지난해 12월 끝났다. 하지만 밀양 주민들에게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송전탑 반대 주민들은 지난해 10월 ‘송변전설비 주변 지역 보상 및 지원에 관한 법률(송주법)’과 ‘전기사업법’에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도 진행 중이다.
박씨는 “송전탑이 준공되고 시험송전까지 되면서 외부에서는 갈등이 잘 마무리된 것으로 안다”며 “아직 200명이 넘는 주민이 (송전탑 설치와 보상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한 평 프로젝트’(밀양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예약 구매하고 농작물을 공급받는 프로젝트)와 ‘미니팜’(송전탑 반대 주민, 지지자로 이뤄진 협동조합) 등을 통해 도시민과의 연대를 모색하고 있다.
지난달 26일 한전의 시험송전 소식이 전해지면서 현장 농성도 다시 시작됐다. 115번 송전탑 주변에 설치된 펜스 앞에서 주민들은 목에 밧줄을 걸고 기습 시위를 벌였다. 지난 7일 한전과 주민 간의 대화가 재개됐다. 하지만 한전 측은 주민들이 요구하는 ‘본격 송전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재산·건강상 피해 보전을 전담할 실사 기구’ 설치를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박씨는 “모든 것을 잃었다고도, 이미 끝난 이야기라고도 생각하지 않는다”며 “쌍용차 해고 노동자나 용산 참사 등 남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넘어갔던 부조리들을 다시 보게 됐고 세상을 보는 눈을 가지게 됐다. 밀양 송전탑 문제를 통해 우리 사회가 사회적 갈등을 조율하는 해법을 고민하게 되길 기대한다”고 소망을 전했다.
글 사진 밀양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5-01-0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