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立春 추위에 김칫독 얼어터진다?’…봄 어디까지 왔나

’立春 추위에 김칫독 얼어터진다?’…봄 어디까지 왔나

입력 2015-02-03 05:41
수정 2015-02-03 05: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상학에서 말하는 봄’까지는 한 달 이상 기다려야

4일은 봄에 들어선다는 뜻의 ‘입춘’이다.

하지만 입춘 무렵은 겨울 추위가 여전한 때라서 ‘입춘 추위에 김칫독 얼어 터진다’, ‘입춘 추위에 오줌독 깨진다’와 같은 속담이 전해진다.

절기상으로는 봄의 문턱을 넘어서는 것이지만 실제로 따뜻한 봄을 맞이하기까지는 인내심이 필요할 것 같다.

3일 국립기상연구소에 따르면 1919년부터 2008년까지 90년간 24절기의 기후변화를 분석한 결과 입춘의 전국 평균기온은 영하 0.5도, 최고·최저기온은 각각 4.1도, 영하 4.4도였다.

입춘의 평균·최고·최저기온 모두 꾸준히 오르는 추세다. 각 기온은 10년마다 평균적으로 0.22도, 0.28도, 0.24씩 올랐다.

1919년부터 1948년까지 30년간 입춘의 평균기온은 영하 1.3도였지만 최근 10년간(1999∼2008년) 입춘 평균기온은 0.7도였다. 60∼90년 전에 비하면 최근 10년간 입춘의 평균기온은 2.0도 상승한 것이다.

지역별로 최근 평년(1981∼2010년) 값을 기준으로 보자면 입춘일 서울의 평균기온은 영하 1.5도로 완연한 겨울이다.

청주는 영하 1.9도, 강릉은 1.0도, 광주 0.7도, 부산 3.1도, 제주 5.2도다.

24절기는 일 년 동안 황도를 따라 이동하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천문학적인 계절로,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기후를 잘 나타내도록 정한 것이라 우리나라 기후와는 차이가 있다.

기상학에서 볼 때 봄의 시작은 ‘일 평균기온이 5도 이상으로 올라가 떨어지지 않는 첫날’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서울에서 봄이 시작하는 날은 3월 12일이다. 입춘으로부터 36일이나 더 기다려야 한다.

청주는 3월 12일, 강릉은 3월 9일, 광주 3월 7일, 부산 2월 12일, 제주 2월 3일이다. 제주·남해안을 제외하면 봄이 오기까지 입춘부터 한 달 이상 기다려야 한다.

기상청은 4일 전국의 아침기온은 영하 7도∼영상 3도, 낮 최고기온은 4∼8도로 예년과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국에 구름이 많이 끼고 경남 해안은 아침에, 충청 이남 서해안은 오후부터 밤사이에 눈이나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