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세습될 가능성 높다”…78% 비정규직 대물림

“비정규직 세습될 가능성 높다”…78% 비정규직 대물림

입력 2015-02-12 14:34
업데이트 2015-02-12 14: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공회대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김연아 박사 학위 논문

아버지가 비정규직이면 자녀도 비정규직일 가능성이 커 고용형태가 세습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2일 성공회대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김연아 박사의 학위 논문 ‘비정규직의 직업이동 연구’에 따르면 비정규직 노동자의 자녀는 노동 시장에 진입할 때 비정규직으로 입직할 가능성이 높았다.

부모가 정규직이면 자녀의 정규직 입직 비율은 27.4%, 비정규직 입직 비율은 67.8%였다.

반면 부모가 비정규직이면 자녀의 정규직 비율은 21.6%, 비정규직 비율은 77.78%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2005년 이후 노동 시장에 처음으로 진입한 만 15세 이상 35세 미만인 사람 중 정규직, 비정규직으로 입직한 자녀와 부모 1천460쌍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나왔다.

김 박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분절이 세대 안에서 그치지 않고 자녀의 직업적 지위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또 “사회 이동의 기회가 더는 균등하지 않고 빈곤의 세습 구조가 노동 시장에서 비정규직을 통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김 박사는 이러한 세습 고리를 깨려면 고용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비정규직 문제는 고용 총량이 아닌 고용 안정 차원에서 적극적인 정책 과제로 논의돼야 한다”면서 “한편에서는 고용 유연성을 높이고 다른 한편에서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겠다는 전략은 모순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