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년 전 사라진 설날 30년 전 되찾고…

120년 전 사라진 설날 30년 전 되찾고…

송한수 기자
송한수 기자
입력 2015-02-17 00:28
업데이트 2015-02-17 0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띠해인 1895년 을미개혁에 따라 이듬해부터 태양력을 수용하면서 양력 1월 1일이 공식적인 ‘설날’로 인정됐다. 그러나 우리 국민은 여전히 음력 1월 1일만 설날로 받아들여 조상님께 차례를 올리고 어른들에게 세배를 드렸다.
이미지 확대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이 설날이 공휴일로 지정된 지 30주년을 기념해 설날 관련 기록물 40건을 17일부터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아이들이 연날리기를 준비하는 모습(1956년). 국가기록원 제공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이 설날이 공휴일로 지정된 지 30주년을 기념해 설날 관련 기록물 40건을 17일부터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아이들이 연날리기를 준비하는 모습(1956년).
국가기록원 제공
이미지 확대
기차표를 구하기 위해 대기하는 귀성객들의 모습(1972년). 국가기록원 제공
기차표를 구하기 위해 대기하는 귀성객들의 모습(1972년).
국가기록원 제공
이미지 확대
새해맞이 숭례문 환경대청소 모습(1985년). 국가기록원 제공
새해맞이 숭례문 환경대청소 모습(1985년).
국가기록원 제공


일제는 음력설 쇠는 것을 막아 우리 민족의 문화를 뿌리째 뒤흔들려고 애썼다. 공권력을 앞세워 물리력을 행사했다. 음력 설날엔 각 관청과 학교에서 조퇴를 엄금했다. 흰옷을 입고 세배라도 다니려고 하면 검은 물감을 넣은 물총을 쏴 얼룩지게 하는 등 온갖 방해작전을 동원했다. 음력 설 억제정책은 광복 뒤에도 이중과세(양력과 음력으로 두 차례 설을 쇠는 것) 방지라는 명목 아래 계속돼 1949년 양력설을 공휴일(1월 1∼3일)로 지정했다. 1981년 12월 16일자 국무총리 지시사항엔 모든 공직자들은 구정을 절대 쇠지 말고, 구정 관련 행정지원을 가급적 하지 않도록 할 것, 신정 귀성열차 요금 할인, 재소자나 군인에 대한 떡국 등의 구정 특식 제공 지양, 신정에 맞춘 시중자금 집중 공급 등 정부 부처별 행정대책 수립을 지시하기도 했다.

국민들의 저항(?)이 끊이지 않자 정부는 1985년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음력 설날 하루를 공휴일로 지정했다. 4년 뒤인 1989년엔 지금과 같이 설날 앞뒤를 합쳐 사흘을 쉬는 날로 결정했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설날을 앞두고 17일부터 관련 기록물 40건을 홈페이지(www.archives.go.kr)를 통해 공개한다. 공개되는 기록물은 ▲월남전 파견 장병의 조국을 향한 세배(1968), 재일동포 3000명 모국 방문과 눈물의 이산가족 상봉(1976), 되찾은 설날(1989) 등 동영상 8건과 ▲새해 선물을 받은 장병(1958), 열차를 기다리는 귀성객(1968), 할아버지와 함께 연을 날리는 아이(1975) 등 사진 24건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1949), 음력 과세방지에 관한 건(1954), 민속의 날 특별수송대책(1986) 등 문서 8건이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5-02-17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