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4·19 혁명이 55주년을 맞이하는 가운데 관련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29일 ‘4·19 혁명 유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등재 및 기념사업 추진위원회’에 따르면 위원회는 4·19 기록물을 올해 문화재청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후보로 올리기 위한 대외 활동을 최근 시작했다.
작년 발족한 이 위원회는 그간 사료 수집 등 기초 활동을 벌여 왔으나 외부 활동은 하지 않아 활동상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
위원회에는 앞서 5·18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 추진위원회 이사장을 역임한 김영진 전 농림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고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장상 전 총리 등이 이사로 참여하고 있다.
정근식 서울대 교수와 서중석 성균관대 명예교수, 홍석률 성신여대 교수, 4·19 묘역이 소재한 서울 강북구 등도 위원회 활동을 돕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심사는 2년 단위로 이뤄진다.
문화재청이 오는 7∼8월 국내 등재 후보를 공모해 2건을 선정, 유네스코에 신청하면 유네스코가 심사를 거쳐 2017년 5∼6월 등재 여부를 발표한다.
위원회는 우선 내달 6일 국회에서 유네스코 등재 추진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열어 4월 혁명 기록물의 역사적 가치와 등재 추진 방안을 논의한다.
위원회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2010년 정리해 펴낸 ‘4월 혁명 사료 총집’에 포함된 기록물 원본을 중심으로 당시 현장 사진과 4·19 관계자들의 구술 채록 등을 등재 후보로 올릴 방침이다.
사료 총집에는 사건 일지와 정부·국회·정당 기록, 신문기사, 부상자 실태 조사서, 재판기록, 각종 선언·성명, 수기·일기, 외국기록 등이 포함돼 있다.
현재 4·19 관계자 103명의 구술 채록을 마친 위원회는 남은 채록에 박차를 가하고, 시민들에게 당시 일기장 등 관련 기록물 원본 기증을 독려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4·19 혁명의 세계사적 의미와 국제 학생운동에 미친 영향 등에 대한 학술 연구 용역 작업도 마무리할 방침이다.
4·19 혁명은 지난 1960년 이승만 정권의 3·15 부정 선거에 항의하며 전국 대학생들이 주축이 돼 일으킨 반독재·비폭력 학생운동이다.
우리나라 헌법이 ‘대한민국은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고’라는 문구로 시작될 만큼 민주주의 기틀을 다진 계기로 평가된다.
앞서 2011년 5·18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데 이어 2013년에는 새마을운동과 난중일기가 목록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이덕재 위원회 사무국장은 “지난 55년간 세계 학생운동과 민주주의 확산에 기여한 4·19 혁명의 진가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며 “세계유산으로 기록되면 4·19의 민주주의 가치를 세계와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29일 ‘4·19 혁명 유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등재 및 기념사업 추진위원회’에 따르면 위원회는 4·19 기록물을 올해 문화재청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후보로 올리기 위한 대외 활동을 최근 시작했다.
작년 발족한 이 위원회는 그간 사료 수집 등 기초 활동을 벌여 왔으나 외부 활동은 하지 않아 활동상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
위원회에는 앞서 5·18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 추진위원회 이사장을 역임한 김영진 전 농림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고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장상 전 총리 등이 이사로 참여하고 있다.
정근식 서울대 교수와 서중석 성균관대 명예교수, 홍석률 성신여대 교수, 4·19 묘역이 소재한 서울 강북구 등도 위원회 활동을 돕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심사는 2년 단위로 이뤄진다.
문화재청이 오는 7∼8월 국내 등재 후보를 공모해 2건을 선정, 유네스코에 신청하면 유네스코가 심사를 거쳐 2017년 5∼6월 등재 여부를 발표한다.
위원회는 우선 내달 6일 국회에서 유네스코 등재 추진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열어 4월 혁명 기록물의 역사적 가치와 등재 추진 방안을 논의한다.
위원회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2010년 정리해 펴낸 ‘4월 혁명 사료 총집’에 포함된 기록물 원본을 중심으로 당시 현장 사진과 4·19 관계자들의 구술 채록 등을 등재 후보로 올릴 방침이다.
사료 총집에는 사건 일지와 정부·국회·정당 기록, 신문기사, 부상자 실태 조사서, 재판기록, 각종 선언·성명, 수기·일기, 외국기록 등이 포함돼 있다.
현재 4·19 관계자 103명의 구술 채록을 마친 위원회는 남은 채록에 박차를 가하고, 시민들에게 당시 일기장 등 관련 기록물 원본 기증을 독려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4·19 혁명의 세계사적 의미와 국제 학생운동에 미친 영향 등에 대한 학술 연구 용역 작업도 마무리할 방침이다.
4·19 혁명은 지난 1960년 이승만 정권의 3·15 부정 선거에 항의하며 전국 대학생들이 주축이 돼 일으킨 반독재·비폭력 학생운동이다.
우리나라 헌법이 ‘대한민국은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고’라는 문구로 시작될 만큼 민주주의 기틀을 다진 계기로 평가된다.
앞서 2011년 5·18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데 이어 2013년에는 새마을운동과 난중일기가 목록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이덕재 위원회 사무국장은 “지난 55년간 세계 학생운동과 민주주의 확산에 기여한 4·19 혁명의 진가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며 “세계유산으로 기록되면 4·19의 민주주의 가치를 세계와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