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탄 화장품 3억 7200만弗 팔았다

한류 탄 화장품 3억 7200만弗 팔았다

박록삼 기자
입력 2015-05-04 23:34
업데이트 2015-05-05 02: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생산유발효과 12조여원

지난해 한류(韓流)의 최대 수혜 상품은 화장품이었다. 반면 예상과 달리 휴대전화는 한류의 혜택을 별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은 4일 한류 현상이 유발하는 국민경제적 파급 효과와 주요 29개 국가별 한류 성장 속도 및 현황을 분석한 ‘2014년 한류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류로 인한 문화 콘텐츠 상품, 소비재 및 관광 수출액 추정치는 61억 6000만 달러(약 6조 6473억원)로 전년 대비 8.4% 증가했다. 또 한류의 전체 생산 유발 효과는 12조 5598억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4.3% 증가했고, 취업 유발 효과는 10만 2326명으로 전년 대비 4.7%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화장품의 경우 2013년 2억 2900만 달러 수출액에서 3억 7200만 달러로 약 62.8% 증가했다. 또 문화 콘텐츠 상품 중 캐릭터 수출이 18.2%, 애니메이션 수출이 16.4% 증가해 최근 한류 성장세를 이끌었다. 경제적 효과 측면에서도 화장품은 생산 유발 효과가 56.6% 증가했고 캐릭터와 애니메이션은 각각 13.7%, 12.0% 증가했다. 반면 휴대전화는 3억 2300만 달러 수출액을 기록했지만 전년도에 비해 5.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 유발 효과, 취업 유발 효과 등에서도 9.1% 감소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처음 도입한 ‘한류현황지수’와 ‘한류심리지수’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분석한 결과 말레이시아, 베트남, 미얀마,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에서의 한류는 여전히 대중적 인기를 누리는 반면 일본, 인도, 이란에서의 한류 인기는 점점 시들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05-05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