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초등학교에서 한 교사가 학생을 왕따로 낙인 찍어 논란이 된 이른바 ‘1일 왕따’ 사건과 관련, 교육당국이 자체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
교육당국 관계자와 해당 학교장은 13일 제주도교육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어 “이런 일이 발생하게 돼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사과하며 “지난 10일 대학교 교수 3명, 외부아동상담전문가 1명 등 4명으로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조사를 벌이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진상조사위는 학부모 호소문과 해당 교사의 소명서를 수합해 검토하고 언론에 보도된 내용도 확인한다.
학교장과 학부모 대표, 해당 교사를 대상으로 진상을 조사하고 해당 학교의 교육실태도 파악한다.
교육당국은 진상조사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교사에 대한 징계 등 인사조치를 검토할 계획이다.
해당 교사는 담임 직무가 정지된 상태로, 지난주 금요일까지는 병가를 냈으며 이날부터 출근했다. 해당 교사는 학생들과는 철저히 격리하고 교감이 해당 학급 임시담임을 맡고 있으며, 학생들은 현재 모두 정상 등교했다고 학교 측은 밝혔다.
학부모들은 지난 9일부터 교사의 소명 자료를 열람하고 있으며, 학교 측은 도교육청 전문가의 협조를 받아 아이들에 대한 심리 치료를 하기 위해 학부모로부터 신청을 받고 있다.
교육당국 관계자는 “법과 규정에 따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사실을 확인하고 후속조치를 취하겠다”며 “지난 8일 학부모와 면담했으며, 앞으로 해당 사안 처리과정에 학부모 요구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교사가 비교육적 용어를 사용해 부적절한 교육활동을 함으로써 학부모께 깊은 심려를 끼치고 제주 교육의 위상을 떨어뜨려 죄송하다”며 학생들이 즐거운 학교생활을 계속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학교장은 “학생들이 ‘우리 학교 왕따 학교 맞아요?’ 이런 얘기를 할 때마다 정말 미안해 그 자리에 주저앉고 싶은 심정”이라며 아이들이 상처받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도내 초등학교의 1학년 한 학급 담임교사가 숙제하지 않거나 발표를 제대로 하지 않은 학생 등을 왕따로 낙인 찍는 이른바 ‘1일 왕따’ 제도를 운용했다는 학부모들의 주장이 지난 7일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알려지며 논란이 일었다.
학부모 주장에 따르면 ‘1일 왕따’가 된 아이는 온종일 다른 학생들에게 말을 해서도 안 되고 다른 학생들도 왕따가 된 아이들에게 말을 걸어선 안 된다.
쉬는 시간에는 화장실 외에 자리를 뜨지 못하고 점심도 5분 안에 먹고 자기 자리에 돌아와 앉아 있어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학교에서의 일을 절대 부모에게 말하지 못하도록 지시하기까지 했다.
학부모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9일 기자회견을 열어 해당 교사를 전출 조치해 아이들과 분리해달라고 요구했다.
학부모들은 지난 5월께부터 1일 왕따 제도가 운용돼 학급 전체 24명 중 20명 가까이 한번 이상 왕따를 당했다고 주장하며 “이후로 아이들이 학교에 가기 싫다고 하거나 속옷에 대변을 묻혀오고 자다 일어나 가방을 싸는 등 전에 없던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고 토로했다.
해당 교사는 아이들에게 써선 안되는 왕따라는 용어를 쓴 것은 잘못이지만 교육적 취지에서 그런 것이지 아이들을 학대하려는 의도는 없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교육당국 관계자와 해당 학교장은 13일 제주도교육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어 “이런 일이 발생하게 돼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사과하며 “지난 10일 대학교 교수 3명, 외부아동상담전문가 1명 등 4명으로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조사를 벌이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진상조사위는 학부모 호소문과 해당 교사의 소명서를 수합해 검토하고 언론에 보도된 내용도 확인한다.
학교장과 학부모 대표, 해당 교사를 대상으로 진상을 조사하고 해당 학교의 교육실태도 파악한다.
교육당국은 진상조사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교사에 대한 징계 등 인사조치를 검토할 계획이다.
해당 교사는 담임 직무가 정지된 상태로, 지난주 금요일까지는 병가를 냈으며 이날부터 출근했다. 해당 교사는 학생들과는 철저히 격리하고 교감이 해당 학급 임시담임을 맡고 있으며, 학생들은 현재 모두 정상 등교했다고 학교 측은 밝혔다.
학부모들은 지난 9일부터 교사의 소명 자료를 열람하고 있으며, 학교 측은 도교육청 전문가의 협조를 받아 아이들에 대한 심리 치료를 하기 위해 학부모로부터 신청을 받고 있다.
교육당국 관계자는 “법과 규정에 따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사실을 확인하고 후속조치를 취하겠다”며 “지난 8일 학부모와 면담했으며, 앞으로 해당 사안 처리과정에 학부모 요구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교사가 비교육적 용어를 사용해 부적절한 교육활동을 함으로써 학부모께 깊은 심려를 끼치고 제주 교육의 위상을 떨어뜨려 죄송하다”며 학생들이 즐거운 학교생활을 계속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학교장은 “학생들이 ‘우리 학교 왕따 학교 맞아요?’ 이런 얘기를 할 때마다 정말 미안해 그 자리에 주저앉고 싶은 심정”이라며 아이들이 상처받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도내 초등학교의 1학년 한 학급 담임교사가 숙제하지 않거나 발표를 제대로 하지 않은 학생 등을 왕따로 낙인 찍는 이른바 ‘1일 왕따’ 제도를 운용했다는 학부모들의 주장이 지난 7일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알려지며 논란이 일었다.
학부모 주장에 따르면 ‘1일 왕따’가 된 아이는 온종일 다른 학생들에게 말을 해서도 안 되고 다른 학생들도 왕따가 된 아이들에게 말을 걸어선 안 된다.
쉬는 시간에는 화장실 외에 자리를 뜨지 못하고 점심도 5분 안에 먹고 자기 자리에 돌아와 앉아 있어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학교에서의 일을 절대 부모에게 말하지 못하도록 지시하기까지 했다.
학부모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9일 기자회견을 열어 해당 교사를 전출 조치해 아이들과 분리해달라고 요구했다.
학부모들은 지난 5월께부터 1일 왕따 제도가 운용돼 학급 전체 24명 중 20명 가까이 한번 이상 왕따를 당했다고 주장하며 “이후로 아이들이 학교에 가기 싫다고 하거나 속옷에 대변을 묻혀오고 자다 일어나 가방을 싸는 등 전에 없던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고 토로했다.
해당 교사는 아이들에게 써선 안되는 왕따라는 용어를 쓴 것은 잘못이지만 교육적 취지에서 그런 것이지 아이들을 학대하려는 의도는 없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