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작년 버몬트양키원전 가동중지…미·일·독 3개국만 원전해체 경험한국 핵심 기술 일부 아직 확보 못해…”보완한 뒤 우리 기술로 해체할 것”
해외 원전해체 산업이 거대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첫 영구정지(폐로) 결정을 내린 고리1호기를 자력으로 해체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연합뉴스

고리 원자력 발전소 1호기.
연합뉴스
연합뉴스
미국은 작년 12월 버몬트양키원전에 대해 영구정지 결정을 내리는 등 원전 33기의 가동을 중단한 바 있다. 버몬트양키원전의 경우 2032년까지 계속운전할 수 있지만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폐로를 결정했고 현재 해체 작업을 벌이고 있다.
미국은 사고로 가동 중지한 원자로를 비롯해 운전 기한이 종료된 원자로까지 해체 경험이 다양하다. 지금까지 원전 해체를 해 본 나라는 미국을 포함해 독일, 일본 등 3개국에 불과하다.
고리 1호기는 지난 6월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영구정지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계속운전 만료일인 2017년 6월 18일까지 가동되다 운영을 멈추게 된다.
이와 관련해 조석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지난 6일(현지시간) 세계원전사업자협회(WANO)의 신임 회장으로 취임한 뒤 “고리 1호기 원전해체는 우리 기술로 할 것이며 부족한 기술은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며 “외국 업체가 컨소시엄으로 참여할 가능성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고준위 폐기물인 사용후연료 처리는 정부가 맡을 예정이며 사업자는 중·저준위 폐기물 해체를 담당한다”며 “사용후연료 처리 기술이 어려울 뿐 나머지 기술은 우리가 감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해체 기술은 사업관리와 엔지니어링 등 설계·인허가, 제염(除染), 기계적 절단 등 해체, 폐기물 처리, 잔류 방사능 측정 같은 부지복원 등 5개 분야로 분류된다.
한국은 현재 고방사선 원자로 및 내장품 원격절단 등을 제외한 관련 기술은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로 알려졌다. 그간 소규모 연구용원자로와 중수로 압력관교체, 증기발생기 등 대형기기 교체 등을 통해 관련 해체기술을 익혔다.
부족한 기술은 정부 주도로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21년까지 1천500억원을 들여 핵심 기반기술 17개, 산업부는 700억원을 들여 실용화 기술 17개를 각각 개발하기로 했다.
미래부는 또 1천500억원을 들여 원자력시설 해체종합연구센터를 구축하고 산업부는 500억원을 들여 제염로봇(원자로 내·외부 방사능 오염물질 제거 로봇) 등 특수장비를 개발한다.
정부는 이같은 원전해체산업 육성을 위해 2030년까지 총 6천100억원을 투입하고 국무조정실에 ‘원자력발전산업 정책 협의체’를 구성해 주요 과제를 점검할 방침이다.
다만 한수원을 포함한 국내 원자력업계는 원전해체를 위한 행정적 절차를 밟아가면서 동시에 원전해체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야 하는 쉽지 않은 상황을 맞게 됐다.
현행 절차에 따르면 한수원은 2022년 6월 이전에 원자력안전위원회에 고리 1호기 해체계획서를 내야 한다. 이때까지 자력으로 원전해체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외국의 업체나 기관으로부터 사와야 한다. 첨단 해체 기술을 확실하게 확보하기에는 시간이 넉넉하지 않은 상황이다.
원자력연구원 관계자는 “기술 개발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우리 자체 기술로 고리 1호기를 해체하는 데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해체계획서 제출 전 주민 의견 수렴도 거쳐야 한다.
국내 원전 1호기인 고리 1호기를 우리 기술로 해체하려면 아직 통과해야 할 관문이 많이 남은 셈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