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서 학생끼리 장난치다 다쳤다면 교사 형사책임은

교실서 학생끼리 장난치다 다쳤다면 교사 형사책임은

입력 2015-10-27 13:47
업데이트 2015-10-27 13: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검찰 “학생간 장난에 교사 형사처벌하는 건 교권 억압”

초등학교 교실에서 수업시간에 친구들끼리 장난치다 다쳤다면 담임교사에게도 형사적 책임이 있을까.

사건은 지난 3월 30일 오후 2시 20분께 용인지역 A초등학교 5학년 한 교실에서 시작됐다.

담임교사인 김모(45·여)씨는 6교시 수업을 10분 정도 일찍 마치고 자신의 책상에 앉아 컴퓨터 작업을 하고 있었다.

그 때 교실 사물함쪽에서 이모(10)군이 다른 친구와 장난을 치다 자빠진 박모군의 다리에 걸려 넘어지고 말았다.

사물함 쇠문고리에 얼굴을 부딪친 이군은 코 부위를 다쳐 약 2주간의 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이군 학부모는 “학생들이 자리에서 일어나는 등 소란스러웠음에도 보호·감독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며 담임교사를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로 고소했고 경찰은 사건을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그러나 수원지검은 27일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판례를 검토한 끝에 학생끼리 한 장난으로 빚어진 사고로 교사를 형사처벌하는 것은 과하다고 판단하고 기소유예하기로 했다.

최근 개최된 수원지검 검찰시민위원회 9명도 만장일치로 기소유예 의견을 제시했다.

검찰은 피해학생의 손해가 가해학생들의 상해보험이나 학교안전공제회로 대부분 배상받을 수 있고, 담임교사가 위로금 명목의 300만원을 공탁한 점도 참작했다.

형사3부 노정환 부장검사는 “실과수업중 학생이 프라이팬에 있던 식용유를 자신의 몸에 쏟아 전치 6주의 상해를 입은 사건에 대해서도 재판부는 교사에게 벌금형의 선고유예를 내린 바 있다”며 “학생간의 장난에 대해 교사를 형사처벌하는 건 오히려 교권을 억누르는 결과를 불러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