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현장에서] 탈북 기자가 본 이산가족 상봉

[취재 현장에서] 탈북 기자가 본 이산가족 상봉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15-10-27 22:46
업데이트 2015-10-28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 친척·친구 ‘아른’… 사연마다 ‘울컥’, 30년 후에는 이산가족 아픔 끝나겠죠?

이미지 확대
문경근 정치부 기자
문경근 정치부 기자
북한을 떠난 지도 어느덧 10여년의 세월이 흘쩍 넘었다. 2003년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했던 때가 가물가물하다. 하지만 입국 당시 떠오르던 첫 생각은 아직도 생생하다.

‘10년 내 통일되면 고향으로 되돌아갈 것’이란 기대가 앞섰다. 그땐 ‘김정일 정권이 가 봤자 10년이나 가겠느냐’ 하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세습을 거쳐 김정은 정권이 안정화 단계로 진입한다는 내외의 평가가 나온다. 누구랄 것 없이 한심하다는 생각이 지워지지 않는다.

●상봉 ‘로또’… 가족들은 애간장

이산가족 상봉 기간(20~26일) 내내 서울 종로구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 앉아 금강산에서 오는 이산가족 상봉 기사들을 팩스로 받아 봤다. 기사 속 사연이 남의 일 같지 않아 울컥했다.

헤어졌던 가족과의 만남이 훗날의 내 모습과 겹쳐지며 북한에 남겨진 친척들의 얼굴이 아른거렸다. 이제는 잔영밖에 남지 않았지만 친구들의 얼굴도 스치듯 지나갔다. 그들과도 볼 날이 있겠지…. 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30년 뒤에도 이산 상봉을 하려나?’ 끔찍하다. 지금부터 30년 뒤면 2045년, 한반도 분단 한 세기가 된다.

남북 이산가족들은 65년 만의 재회로 여한(餘恨)을 풀기도 했지만 ‘만나자 이별이니 만나지 않은 것만 못하다’는 장탄식도 숨기지 않았다. 한 할아버지는 작별 상봉을 앞두고 “이럴 거면 왜 보느냐”고 한탄했다.

실제로 이산 상봉 뒤 가족들은 심각한 후유증에 시달린다. 대부분이 고령이기 때문인지 세상을 떠나는 경우도 허다하다.

북한에서도 가족들과 상봉을 마친 노인들이 미련 없이 하늘나라로 가는 모습을 종종 봤다. 독재 체제의 핍박에서도 질긴 목숨 이어 온 이유가 가족과의 마지막 대면이었다는 듯….

이산가족 상봉이 또 다른 고통을 수반하는 것에는 남북 모두의 책임이 있다. 역대 정부에서 이산가족 상시 상봉, 고향 방문, 서신 거래, 화상통화 등을 약속했지만 결과적으로 해결된 것은 없다.

세월은 빠르게 흐르는데 상봉 행사는 띄엄띄엄 열리고 상봉 기회도 ‘로또’에 가까운 탓에 가족들의 애간장만 녹는다. 아직도 상봉 순서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수만명에 이른다. 박근혜 정부도 초기 ‘통일대박’을 통해 국민들에게 기대감을 줬다. 이젠 기대감으로 머물지 말고 결과로 보여줄 때다. 이산 상봉 정례화를 실현시켜라.

●잇속만 챙기는 北… 변화 기대

북한도 이산 상봉을 선심 쓰듯 내놓으며 ‘상봉의 장’을 김정은 ‘찬양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심하다. 더이상 이산가족의 아픔을 볼모로 잇속을 챙기는 짓은 중단해야 한다. 그것이 바람직한 남북 관계로 나아가는 길이다. 북한의 변화된 자세를 기대해 본다.

2015-10-28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