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생 56% “지역내 중소기업 취업, 고려 안 한다”

지방대생 56% “지역내 중소기업 취업, 고려 안 한다”

입력 2015-10-29 16:37
수정 2015-10-29 16: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부처·공공기관·대기업’ 취업 선호

지방대생의 과반수는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취업의사가 있는 부산·광주·강원지역 4년제 대학생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29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을 고려하느냐는 질문에 55.9%가 ‘고려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을 위한 구직활동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8.6%가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로는 ‘수도권 소재 기업이 더 희망적이기 때문’ (27.6%), ‘지역 내 중소기업의 낮은 복리후생’(14.1%), ‘기대에 못 미치는 임금수준’(13.3%) 등을 꼽았다.

대기업을 100으로 놓고 비교했을 때 중소기업에 대한 호감도는 복지후생, 사회적 평판, 임금, 직장 안정성, 개인발전 가능성, 근무시간, 근무환경 등 항목에서 모두 70 미만의 점수를 나타냈다.

지방대생이 희망하는 취업처는 ‘정부부처·공공기관’(32.6%), ‘대기업’(26.1%) 등이었다. 중소기업은 10.6%에 불과했다.

직업능력개발원은 “지방대생들의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비전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충분한 홍보와 함께 중소기업의 복지후생 및 임금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5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4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